현재 실시하고 있는 쓰레기 분리수거 효용성이 정말 있나요?
일본이나 우리나라는 쓰레기 분리수거를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미국이나 멕시코 등 북미지역은 그냥 버리더군요.. 뉴스에도 플라스틱 분리수거해도 재활용 미비하거나 그냥 버려진다는 뉴스도 보이고요.. 지구를 지키자는 감성팔이 말고 진짜 효과가 있는지 데이터를 통해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전 세계적으로 생산된 플라스틱의 약 9%만이 실제로 재활용됩니다. 미국은 플라스틱 재활용률이 약 5%로 분리수거가
실제 재활용으로 이어지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본은 소각 기반의 "에너지 회수"를 포함해 재활용률을 높이지만
순수 재활용률은 낮은 편입니다.
기본적으로 재활용이 효과적이려면 철저한 분리, 오염 최소화, 시장 수요가 함께 작동해야 합니다. 여기에 감성적
접근보다 지속가능한 제품 설계와 재사용 중심의 정책이 실질적 효과를 높이는 데 중요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북미 지역은 재활용 실효성이 매우 낮은 이유는 생활 인프라와 정부 정책 및 처리 시장등이 갖춰져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실제로도 플라스틱이 재활용 비율은 오염도와 경제성 및 재질 문제로 떨어지는 것이 사실입니다.
플라스틱 모든 재질이 재활용 되는 것은 아니며, 재활용 보다 버려지거나 소각되는 것이 많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쓰레기 분리수거의 실질적 효용성에 대한 의문은 충분히 제기될 수 있습니다. 이론적으로 분리수거는 자원 보존, 에너지 절약, 온실가스 감소 등 환경적 이점을 제공합니다. 플라스틱 재활용은 종류 복잡성이나 오염 문제로 인해 실제 물질 재활용률이 생각보다 낮은 한계가 존재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시민들의 1차 분리 배출은 재활용 시스템의 효율성을 위한 필수 조건이며, 환경 의식 고취에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제도 개선을 통해 분리수거의 실효성은 더욱 높아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