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토목공학

울통불퉁침팬치
울통불퉁침팬치

기차가 운행할 때 모래를 싣고 다니나요?

어디서 봤는데 기차가 다닐때 모래를 싣고 다닌다고 하는데 이 모래는

높은곳이나 급재동시에 뿌릴려고 싣고 다닌다고 하는데 현재 운행되는 우리나라 기차도 모래를 실고 다니나요? 뿌리는 것을 한번도 못본듯 해서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고운푸들16
      고운푸들16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말씀대로 기차는 운행을 위헤 모래를 싣고 다니며 이를 '살사장치'라 하고 압축공기를 이용해 모래를 살포하는 장치입니다.

      하지만, 말씀처럼 급제동을 위한 모래는 아닙니다.

      기차는 철로 만들어진 바퀴와 선로 사이의 마찰력을 이용해 움직이는데 건조하고 맑은 날에는 자연스럽게 둘 사이에 마찰력이 어느 정도 발생한다고 합니다. 하지만 비나 눈이 오는 경우는 선로가 눈이나 비에 젖으면 마찰력이 급격하게 떨어지게 되는데 그러면 미끄럼 탓에 바퀴가 헛도는 사태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이때 바로 기차에 실린 고운 모래를 기관차 바퀴 앞의 선로에 뿌리는 겁니다. 이렇게 뿌려진 모래는 마찰을 일으키면서 미끄러짐을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현재 일반 디젤기관차는 물론 KTX, ITX 새마을 같은 전철에도 살사장치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살사장치에 사용되는 모래의 굵기는 고속차량이냐 일반차량이냐에 따라 차이가 나는데요. 고속차량용은 굵기가 0.3~1.0mm이고, 일반차량용은 이보다 큰 1.2~1.5mm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일부 기차는 급제동을 위해 모래를 사용합니다. 이러한 시스템은 특히 기차의 휠과 레일 사이의 마찰을 증가시켜 제동 거리를 줄이고 더 안전한 정지를 도와줍니다. 모래는 기차의 전방에 장착된 모래통에 저장되어 있습니다. 운전사가 급제동이 필요한 경우, 제동장치를 작동시키면 모래가 휠과 레일 사이로 분사됩니다. 모래는 마찰력을 증가시켜 휠과 레일 사이에서 발생하는 슬립을 감소시키고, 이로 인해 기차의 속도를 줄입니다. 특히 비접촉식 제동 시스템을 갖춘 전기 기차에서 모래 제동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전기 기차는 회생 제동 시스템으로 에너지를 회수하며 속도를 줄입니다. 그러나 회생 제동만으로 충분하지 않거나 추가적인 급제동이 필요할 때, 모래 제동 시스템이 활성화됩니다. 하지만 많은 현대화된 열차들은 공기식 브레이크와 전자식 저항 제동 등 다양한 방법으로 급제동을 수행합니다. 따라서 모든 기차가 모래를 사용하는 것은 아니며, 이는 차량 종류와 운영 체계에 따라 다르게 구현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차에서 모래가 나온다고?

      달리는 기차 바퀴에서는 모래가 나온다. 기차 바퀴 와 기찻길(레일)은 철로 이루어져 있다. 반드러운 철 과 철이 만나 기차 바퀴는 헛돌고 미끄러지기 일쑤 다. 눈이나 비 내리고 가파른 언덕을 오를 때에는 더 욱 심하다. 이럴 땐 선로에 모래를 뿌려주어야 한다.

      기관차 운전실에는 모래를 뿌려주는 살사(\}) 버 튼’이 있다. 기차가 미끄러지거나 오르기 힘들 때 기 관사가 살사 버튼을 누르면 바퀴와 연결된 장치에 서 나온 고운 모래가 레일에 흩뿌려진다. 바퀴와 레 일이 달라붙도록 마찰력을 높여주는 것이다. 모래는 미끄러운 바퀴를 잡아 기차를 빨리 멈추게 하는 일 도 한다. 하려는 일이 풀리지 않아 어렵고 힘들 때 기관사는 모래를 사용한다. 모래는 미리 채워두고 확인해야 한다. 기차를 달리고 멈추는 데 도움을 준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기차도 모래를 실고 다닙니다. 모래는 기차가 미끄러지지 않도록 뿌리기 위한 것입니다. 기차는 차륜과 레일 사이에 마찰력을 이용하여 움직입니다. 마찰력이 너무 작으면 기차가 미끄러지게 되고, 마찰력이 너무 크면 기차가 멈추게 됩니다. 따라서, 기차는 미끄러지지 않도록 적당한 마찰력을 유지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