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성큼성큼걷는펭귄836
성큼성큼걷는펭귄836

허리가 휜다는 표현의 어원은?

힘든일을 하거나 금전적으로 부담될때 허리가 휜다고 많이 표현하는데요 해부학적으로 허리는 원래 휜어있는 구조로 되어있죠 왜 그런표현을 쓰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Slow but steady
      Slow but steady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허리를 곧게 펴고 있는것 보다 일을 하거나 농사를 짓기 위해 논이나 밭을 일구기위해 허리를 구부리면 아무래도 더 많이 휘게 되겠지요. 예를 들어 비싼 등록금 때문에 서민들 허리가 휜다 라는 표현은 등록금 때문에 서민들이 논 밭일을 더 많이 해야 한다라는 말에서 나온 것 입니다. 지금이야 앉아서도 일을 하지만 농경사회였던 우리 나란 보통 논밭에서 거의 하루의 모든 시간을다 보냈지요. 그래서 이런 표현이나온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감당하기 어려운 일을 하다 힘에 부치다는 뜻으로 우리몸을 지탱하는 중추적 기관은 허리입니다.

      허리가 모든 중심역활을 합니다.

      무거운 것을 들때 허리에 힘이 없으면 들수가 없는 것처럼 우리의 삶에서 힘에 부칠때 허리가 휘어지도록 이라는 단어를 많이 씁니다.

      하나의 비유적 표현 입니다.


      아버지 어머니가 허리가 휘도록

      그러니까 온힘을 다하여 죽도록 일을하셔서 자식들을 키워냅니다.

      비교적 육체적 노동을 많이 하던 시절에 전해온 이야기 입니다

      질문에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수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예전에는 농사를 주로 지었기때문에

      농사일을 많이 하면 허리가 굽게됩니다.

      그때당시는 지금처럼 기계가 또 발달하지 않았기 때문에 일일히 허리를 숙여서 일을 했었죠.

      그래서 허리가 굽어있는걸 허리가 휘었다고 표현했습니다.

      오늘날에는 일을 많이하거나 고생을 했을때 허리가 휜다고 표현합니다.

    • 안녕하세요. 강요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감당할수 없는 일을 하느라 힘이 부칠때 허리가 휜다는 표현을 쓰는데요 언제 어디서부터 이러한 표현을 시작했는지는 알수가 없습니다. 그냥 입에서 입으로 즉 구전된 표현일 뿐입니다 그래서 모든 사람이 뜻을 알고 있는것이지요

    •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허리가 휜다. 등골이 휜다 라는 표현은 매우 힘들다 라는 뜻 입니다. 그만큼 고난의 길을 걷고 있다 라는 뜻 입니다.

      어원을 설명하자면 옛날에는 돈벌려면 막노동을 해야 했었는데 이러한 자세들은 바로 하지 않으면 허리가 휘었기 때문에 이러한 표현이 생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