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의 보급은 다시 늘어날 수 있을까요?
전기차의 강세가 예전만큼이 아니다보니 자동차 업체에서는 전기로만 움직이는 차를 개발하기보다 기름과 전기를 하이브리드로 사용하는 차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결국 충전만으로는 시간적 제약이 있다보니 그러한 한계인 부분을 돌파하고자 여러 듀얼 옵션들이 파생되고 있는데요. 순수 배터리로만 다니는 전기차 보급이 늘어날 수 있을까요? 어떤 제약이 해결해야될까요?
안녕하세요. 박정철 전문가입니다.
최근 하이브리드차의 부상으로 전기차 강세가 주춤한 것처럼 보일 수 있으나, 순수 배터리 전기차 보급은 장기적으로 다시 늘어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만, 이를 위해 해결해야 할 몇 가지 제약이 있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충전 인프라의 부족과 불편함입니다. 충전소 수가 충분치 않고 위치가 불편하며, 충전 속도가 느려 시간이 오래 걸린다는 점이 사용자들의 가장 큰 불만입니다. 충전 인프라 확충과 기술 발전이 시급합니다. 둘째는 차량 가격 부담입니다. 아직 내연기관차나 하이브리드차보다 비싼 초기 구매 가격이 보급 확대의 걸림돌이 되고 있습니다. 배터리 생산 단가를 낮추고 적절한 구매 지원이 필요합니다. 셋째는 주행 가능 거리에 대한 불안감입니다. 한 번 충전으로 갈 수 있는 거리가 충분하지 않거나 겨울철 성능 저하에 대한 우려가 있습니다. 배터리 기술 발전으로 주행 거리를 늘리고 저온 성능을 개선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배터리 수명 및 교체 비용부담, 그리고 전력망 부하 문제 등도 해결해야 할 과제입니다.
이러한 제약들이 점진적으로 해결된다면, 전기차는 가진 장점을 바탕으로 다시 보급이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현재 전기차 보급은 기술 혁신과 인프라 확충, 정책 지원등 다양한 요인에 달려 있습니다.
하지만 현재 충전기 수는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으며 화물차와 승용차 충전 시설이 분리될 필요성이 존재하며
배터리 제조사 간 경쟁으로 가격은 하락이 예상되지만 보조금 정책은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순수 전기차 보급이 늘어나기 위해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문제들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장거리 운전 시 배터리 수명과
충전 인프라의 불균형 문제, 전기차 생산 과정에서의 환경 영향 등을 고려한 기술 개발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기술과 정책이 점차 발전함에 따라 순수 전기차의 보급은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