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2024년에도 힘찬파이팅할까요
2024년에도 힘찬파이팅할까요24.01.10

정전기 발생을 줄일수있는 방법?

평소에 정전기 발생이 잦아서 따끔할때가 많은데요.

정전기를 덜 나게 하거나 안나게 하는 좋은 방법이 있으시면 전수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수려한백로159입니다.

    정전기는 보통 건조한 환경에서 잘 발생하기 때문에 가급적 실내 습도를 적절하게 유지하는 게 중요합니다. 특히 겨울철에는 가습기를 틀어놓는 것이 좋고요.

    그리고 옷의 경우에도 합성섬유가 정전기가 더 잘 일어나기 때문에 가능하면 면이나 울 등 천연 섬유로 된 옷을 입으시는 게 좋고, 발을 닦을 때도 합성섬유 매트보다는 면수건 같은 걸 쓰는게 좋습니다. 빨래를 할 때도 섬유유연제를 넣어서 하면 정전기 발생이 크게 줄어 듭니다.

    그 밖에 손도 건조하면 정전기가 잘 일어나기 때문에 보습제도 주자 바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습도

    습도만 높여도 정전기는 줄어든다. 실제로 습도가 10~20%인 날에 사람이 카펫 위를 걸으면 약 3만5000볼트의 정전기가 발생하지만, 습도가 60~90% 이상일 때는 1500볼트의 정전기가 발생한다고 한다. 물을 많이 먹는 것도 피부의 수분 함유량을 높여 도움을 줄 수 있지만 직접 실내 환경과 피부의 습도를 높이는 게 효과적이다. 가습기를 사용하거나 젖은 빨래 등을 널어놓는 게 좋다. 핸드크림 역시 중요하다. 특히 요즘같이 손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손 소독제를 자주 사용할 때라면 더 그렇다.


    섬유유연제

    섬유유연제가 도움을 줄 수 있다. 겨울철에 많이 입는 옷은 나일론, 아크릴, 폴리에스터 등의 합성섬유로 이뤄진다. 정전기가 많이 발생하는 소재들이다. 그리고 섬유유연제는 마지막 헹굼 단계에서 옷감을 부드럽게 하고, 세제로 세탁된 섬유를 중화시켜 정전기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다만 폴리에스터에는 그 효과가 미미하다는 연구 결과도 있어 맹신하는 건 좋지 않다.


    전도체

    전도체를 이용하는 방법도 있다. 손에 쌓인 정전기가 전도체를 통해서 빠져나가면 정전기가 발생하지 않을 수 있고 발생하더라고 충격이 줄어들게 된다. 클립이 대표적이지만 동전이나 열쇠를 사용할 수도 있다. 쇠로 된 손잡이는 전도체로 툭툭 건드린 다음에 잡으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