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흡족한박새134
흡족한박새13423.12.12

우박은 어떻게 해서 내리게 되나요??

눈과 비는 흔하게 내리고 큰 피해를 주지 않는데 우박은 내렸다하면 큰피해를 주고 일단 무섭습니다. 우박이 어떤 날씨에 내리는지? 우박이 내리는 원리는 어떻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박은 적란운이라는 구름에서 내립니다. 적란운은 상승기류가 매우 강한 구름으로, 수증기가 빠르게 상승하면서 얼음 알갱이가 만들어집니다. 얼음 알갱이는 상승기류에 의해 계속해서 위로 올라가면서 크기가 커지게되고 일정무게 이상이 되면 하강하게 되는데 이게 우박이 되는 겁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여름철이나 봄철 대낮에 햇빛이 강하게 내리쬐면 지표는 일사에 의해 가열되고, 가열된 공기는 부력을 얻어상승하면서 상승기류가 만들어집니다. 상승기류로 인해 공기는 상승하며 단열팽창 후 응결되면서 적운형 구름인 적란운이 만들어지고 대기불안정이 지속되면 적란운은 강하게 발달합니다. 이때 구름의 상층부는 -40도까지 내려가는 아주 저온의 지역인데 그래서 구름의 상단은 물이 아닌 빙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수증기가 응결되어 달라붙어서 수적이 성장하면 무거워서 낙하하는데 빙정이 그대로 지상에 도달하면 눈이고, 녹아서 물이 되면 비가 됩니다.

    But, 빙정이 녹아서 물이 된 상태에서 상승기류로 인해 물방울이 다시 구름 위로 올라가게 되고 영하의 온도에 의해 얼어버립니다. 그렇게 얼었다가 녹았다를 반복하면서 구름 속에서 위-아래 연직 이동을 하게 되면얼음덩어리는 크기가 계속 커지게 되고, 그 후 자신만의 무게: 중력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하면 떨어지는데,그 얼음 덩어리가 바로 우박입니다.

    출처 : KS서울날씨청 - [기상학] 우박의 원인 및 원리 / 우박이 내리는 이유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눈과 비는 우리가 매우 흔하게 볼 수 있는 날씨 현상이지만 우박은 그렇지 않습니다. 우박이 내리는 원리는 다소 복잡하지만 간단하게 설명하자면 우박은 구름 안에서 얼어붙은 물방울이 지면으로 떨어지는 것입니다.

    우박은 일반적으로 높은 고도에서 형성되며 구름 안에서 물방울이 얼어붙어 작은 얼음 조각이 됩니다. 이 얼음 조각은 구름 안에서 계속 성장하며 충분히 커지면 구름에서 떨어져 지면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이 때 얼음 조각은 지면으로 떨어지는 동안 공기의 저항과 마찰력을 받게 되어 둥글게 둥글게 굴러가면서 점점 커지게 됩니다.

    우박이 내리는 날씨는 일반적으로 높은 고도에서 발생하는 강한 대류와 불안정한 대기 조건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이러한 조건이 만나면 구름 안에서 얼어붙은 물방울이 더 빠르게 성장하고 더 큰 우박이 형성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이러한 조건이 만나면 우박은 지면으로 떨어지면서 큰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

    저는 이러한 과학적인 원리를 통해 우박이 내리는 날씨를 이해하고 있으며 더 자세한 내용을 알고 싶으시다면 언제든지 저에게 문의해주세요.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상층과 하층의 온도 차이가 커지면 강한 상승기류가 발생합니다. 근처 수증기를 흡수 덩치를 키워 얼음덩이 우박이 됩니다. 우박은 상승기류가 약해지거나 상승기류보다 무거워지면 땅으로 떨어집니다. 보통은 지름이 1cm 미만이지만 야구공만 한 것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