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뽀얀딱새202
뽀얀딱새202

스님들 화장하면 사리나오잖아요 일반인들도 화장하면 사리가 나오나요? 그리고 사리가 생기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스님들 화장하면 사리가 나오는데 일반인들도 화장을 하면 사리가 나오는지

사리가 정확히 무엇인지 왜 생기는지 어떠한 방법으로 생기는지가 매우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대견한멧새88
      대견한멧새88

      안녕하세요. 김석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리가 일반적으로 불교라는 종교에 접목돼 있고, 이 질문에 대한 해답은 현재 누구도 알 수 없다는 것이 진실입니다.

      먼저 의학계에서는 사리를 신진대사가 원활하지 못할 때 생기는 결석이나 담석의 일종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스님들은 가부좌를 튼 채 오랜 시간 앉아있기 때문에 결석이나 담석이 생길 가능성이 일반인보다 높습니다.

      하지만 인하대의 임형빈 박사가 발표한 분석 결과를 인용해보면

      “지름 0.5센티미터 정도의 팥알 크기 사리에서 방사성 원소인 프로트악티늄(Pa), 리튬(Li)을 비롯해 티타늄, 나트륨, 크롬, 마그네슘, 칼슘, 인산, 산화알루미늄, 불소, 산화규소 등 12종이 검출됐다. 사리의 성분은 일반적으로 뼈 성분과 비슷했으나 프로트악티늄, 리튬, 티타늄 등이 들어있는 것이 큰 특징이다. 사리의 굳기, 즉 경도는 1만 5,000파운드의 압력에서 부서져 1만 2,000파운드에서 부서지는 강철보다도 단단했다. 특히 결석의 주성분은 칼슘, 망간, 철, 인 등이고 고열에 불타 없어지며 경도도 사리처럼 높지 않아 사리는 결석이 아니다.”

      즉, 임 박사님은 사리가 결석이라는 주장을 단호히 배제한 것입니다.

      이는 5,500kg의 압력에서 부서지는 강철보다 단단한 경도이고, 이후 미스테리한 의문이 아직 남아있으며 실제 과학적으로 밝혀진 부분이 더이상은 존재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리의 경우 뼈로 해석되는 것도 있고, 결석이라고 해석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 대해서는 스님뿐 아닌 다른 사람들에게서도 나올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