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대한민국은 물가상승률에 주거 상승률이 왜 포함되지 않나요?
다른 나라에서는 주거 상승률이 물가 상승률이 포함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한국의 경우에는 아직까지 집 값 상승률이 물가 상승률에 포함되지 않고 있습니다.
이런 선택적인 통계가 물가 상승률이 실질적인 상승률에 대한 견해를 저해하는거 아닐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주거비 등이
물가에 반영이 됩니다만 다른 국가들에 비하여
반영비율이 낮다는 비판도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가주거비'는 본인 집에 사는 사람이 비슷한 주택을 전·월세로 빌릴 경우 예상되는 임대료를 의미합니다.
그동안 통계청은 자가 주택 구매를 소비 목적이 아닌 투자 또는 자본재 구입 성격이 강하다고 판단하였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미국과는 다르게 자가주택의 재임대 지수를 물가지수에 포함시키지 않아서 물가상승률이 다른 국가에 비해서 낮은 것으로 보여지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