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아쇠수지증후군인데요. 약을 먹는게 더 좋을까요?
방아쇠수지증후군증상이 발현한지 한달정도 됐는데 약은 병원에서준일주일치만먹고 안먹고 있습니다.
집에서 파라핀 치료중입니다.
소염제를 먹으면서 파라핀치료하는게 더 좋을까요?
아무래도 약물을 복용하는 것이 증상도 완화를 하고 관리를 하는 것에 있어 도움이 될 수 있는 요인이긴 합니다만, 반드시 약을 먹어야 한다고 볼 수는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약제도 함께 복용하고 치료를 하시는게 좋습니다.
한번더 병원 방문해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지금 통증은 있으신가요?
통증없이 관절 움직이실때 딱딱 걸리는것만 있으신가요?
통증이 없다면 굳이 소염제는 사용하지 않으셔도 되겠으며 온찜질만 해주셔도 되겠습니다.
방아쇠수지는 손가락 사용을 줄이면 결국은 좋아지겟습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비수술적 치료법으로는 증상이 경미한 경우에는 손가락을 움직이지 않고 안정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밤에 손가락이 잠기거나 굽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기를 착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더욱 심각한 경우에는 약물 치료나 물리 치료를 시도할 수 있으며, 증상이 여전히 악화되면 염증 부위에 스테로이드 주사를 투여하여 염증을 진정시킬 수 있습니다. 다만, 스테로이드 주사 시 피부의 위축, 변색, 힘줄의 퇴화와 파열, 바늘 찌르는 과정에서의 통증과 같은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비수술적 치료로도 호전되지 않을 경우, 반복적인 주사 치료가 부작용과 합병증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이런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법으로는 손바닥에 약 1cm 정도의 절개를 하고 힘줄이 지나가는 통로를 확장시켜주는 간단한 수술이 있습니다. 이러한 수술을 통해 힘줄이 지나가는 부위의 마찰이 감소하고 염증이 해소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손가락 중간 마디를 오랫동안 잘못 사용한 경우, 관절에 부담이 가서 수술 후에도 통증이 지속될 수 있으니 이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정형외과전문의와 상의하시고 의학적으로 검증된 치료를 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