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용어

머쓱한박새70
머쓱한박새70

Abs 상품을 쉽게 이해시켜주실분 있나요?

이번에 국가부도사태 라는 영화를 다시 봤는데 다시 봐도 모르겠고 검색해봐도 모르겠네요.. abs상품이라고 말하던데 이게 도데체 뭔가요? 쉽게 설명해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ABS와 같은 경우 금융기관 또는 기업 등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을 담보로 발행하여 제3자에게 매각하는 증권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부실채권이나, 부동산 등 이러한 자산을 담보로 발행하는 채권을

      발행하고 이를 시중에 판매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부동산, 매출채권, 유가증권, 주택저당채권 및 기타 재산권 등과 같은 기초자산을 가지고 발행하는 증권입니다. 예를들어 내가 지금 100억의 예금을 보유하고 있다면, 이 100억의 예금을 담보로 채권을 발항해는 것이고 이때 예금이 바로 기초자산입니다.

    • Asset Backed Securities라 하여 말 그대로 자산담보부증권으로 보시면 됩니다.


      쉽게 생각하면, 가정에서 은행으로부터 주택담보대출을 받으면, 은행은 채권자로서, 주택담보대출 실행에 따른 채권(권리)를 가지고 있는데, 만일 이를 증서로서 유통가능하게끔 문서화하면, 이는 ABS의 일종으로 주택담보부채권 또는 주택저당증권(Mortage Backed Security)가 되는 겁니다.


      자산 = Asset, Backed = 받쳐진/첨부된, Security = 문서/증권


      집문서는 소유주가 가지고 있다면, 일반적으로 ABS는 소유주가 같고 있는 문서라기 보다는 채권자가 보유하고 있는 담보권을 거래를 위해 문서를 담아놓은 것이라 보시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자산유동화증권(ABS: Asset-Backed Securities)이란 자산이나 부채집합(asset/debt pool)을 담보로 하여 발행된 증권을 가리키며 증권발행과 관련된 일련의 거래를 자산유동화(securitization)라 합니다. 금융기관이 보유하고 있는 대출채권을 담보로 ABS를 발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대출채권에는 만기가 있기 마련입니다. 금융기관이 자금을 회수하려면 만기까지 기다려야 하죠. 하지만 금융기관이 개별 대출채권 또는 조건이 비슷한 여러 개의 채권을 모아서 담보로 삼은 뒤 ABS를 발행하면 만기까지 기다리지 않고도 자금을 회수한 효과를 얻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테스티아입니다.

      * '자산유동화증권'으로써, 쉽게 말해서 부동산을 당장 현금화 하기 어려우므로, 돈이 필요한 집 주인이 이 부동산을 담보로(Backed) 증서를 발행하여(* 증권화) 이 증서를 팔아 돈을 융통하는 것으로써, 추후 이 돈을 갚아야 집 주인이 오롯이 집에 대한 권리를 확보할 수 있고, 만약 갚지 못한다면 집은 그 돈을 융통해준 주체(개인, 기관 등)에게로 넘어가게 된다 이렇게 이해하시면 쉬우실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