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빼어난자라42
빼어난자라42

원산지 증명서에서 FI NO.는 뭘 뜻하나요?

COO를 받았는데 FI number라는 것이 적혀있더라구요. 이전에 타국가에서 물건 수입할 때 받았던 COO에는 기재되어있지 않았던 부분이라 무슨 번호를 뜻하는 것인지 궁금해서 질문 올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경훈 관세사입니다.

      원산지증명서 어느란에 기재되었는지 확인이 필요하지만 수출자측에서 서류에 대한 file number를 기재한것으로 보여집니다. 인보이스 번호나 다른 서류상에 해당 번호를 식별하기 위해 기재한 것으로 보여집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현민 관세사입니다.

      일반적으로 원산지증명서에는 invoice no. 및 date가 기재되도록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FI NO.는 Final Invoice의 줄임말일 가능성이 큰 것 같습니다. FI number의 의미가 인보이스 넘버를 의미하는 경우에는 수출자가 발행한 인보이스의 넘버와 동일해야 하므로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해당 의미가 Final Invoice number의 의미가 아닌 경우에는 수출자로부터 해당 문구의 의미를 파악하신 후 원산지증명서에 필수로 기재해야하는 정보가 아니라면 삭제요청을 하시는 것이 향후 세관으로부터 받을 수 있는 의심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일 것 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해당 원산지증명서의 협정이나 서식 사항의 추가확인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며, Foreign Identification Number로서 외국의 기업번호를 의미할수도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서류의 file numer를 의미할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c/o를 발급한 수출자 측에 해당 발행의미를 문의하셔서 확인하는 것이 가장 신속할 것으로 보여집니다.

    • 원산지 증명서를 핀란드에서 받으신 경우라면 상업서류상의 인증수출자 번호중

      FINLAND FI/50/110, FI/8/36 등의 "FI/인증번호/지역세관 3자리 코드"를 말씀 하시는 것으로 보입니다.

      한․EU FTA에 적용되는 '세관인증번호 체계'인지 여부를 명확히 판단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우선 협정관세를 적용하여 통관한 후, 사후 검증 절차를 진행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참고하여 주시기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여기서의 FI는 핀란드를 뜻하는듯하며, FI번호란 핀란드 통관 시 필요한 부호로서 "FI/인증번호/지역세관"으로 구성되는 번호인듯 합니다. 다만, 핀란드와 관련이 없는 물품이라면 다른 번호일 수도 있으며 공란으로 기재될 수 있는 점 참고부탁드립니다.

      답변이 도움되셨으면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