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곤증은 보통 어떤 경우로 생기는건가요?
저도 한번씩 점심때나 저녁때 밥을 먹고나서 피곤해지는 경우가 있는데 어떤것 때문에 피곤해지는건지 아시나요? 궁금해서 물어봅니다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음식물을 섭취 시 소화를 위해 위장관에 혈액이 몰리게 되고 이로 인하여 식곤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과식을 피하고 식사 후 가벼운 산책을 하거나 졸음이 너무 심하다면 짧은 시간 낮잠을 자는 것이 해소에 도움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식후에 졸리는 이유는 여러가지 기전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지만 가장 크게 소화를 위해 위장관으로 혈액이 몰리면서 뇌로 가는 혈액순환이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소화를 위해서는 부교감 신경이 항진되는데 이게 졸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또, 식후에 올라간 혈당을 세포로 저장하기 위해서 인슐린이 분비되는데 이것 또한 졸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성민 의사입니다. 식곤증은 흔히 식사 후에 졸리거나 피곤해지는 것을 말해요. 주로 식사 후에 혈당이 급격히 올라가면서 인슐린이라는 호르몬이 분비되어, 혈당을 떨어뜨리기 위해 우리 몸이 에너지를 소모하려 하기 때문이에요. 또한, 식사 후 소화 과정에서 위장에 혈액이 몰리면서 뇌로 가는 혈액의 양이 일시적으로 줄어들어 졸리거나 피곤할 수 있어요. 특히 점심이나 저녁 식사 후에 이런 현상이 자주 발생하는데, 이는 식사량이 많거나 고지방, 고탄수화물 위주의 식사를 했을 때 더 두드러질 수 있어요. 식곤증을 줄이기 위해서는 과식하지 않도록 하고, 섬유질이 풍부한 음식을 포함한 균형 잡힌 식사를 하며, 식사 후 가벼운 산책이나 스트레칭을 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질문자분의 식사 습관이나 식사 후 활동도 한번 점검해 보시면 좋겠어요.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식곤증은 식사 후에 발생하는 졸음이나 피로감을 말하는데, 주로 소화 과정과 관련이 있습니다. 식사 후, 특히 탄수화물이 많은 음식을 섭취하면 혈당 수치가 급격히 올라가게 됩니다. 몸에서는 혈당을 조절하기 위해 인슐린을 분비하게 되고, 이 과정에서 뇌에 졸음을 유발하는 물질이 작용하게 됩니다. 또한, 식사를 하면 소화를 위해 위장관으로 혈액이 몰리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대적으로 뇌로 가는 혈류가 줄어들어 일시적인 피로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특히 점심이나 저녁 식사 후에는 이런 현상이 더욱 두드러질 수 있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밥을 먹고 나서 피곤해지는 증상은 식사 후 혈당 변화와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특히 탄수화물이 많은 식사는 혈당을 급격하게 올리고, 그 후에 혈당이 떨어지면서 피로감이나 졸림을 느낄 수 있습니다. 또한, 소화에 에너지를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몸이 피곤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과식이나 영양 불균형도 피로감을 유발할 수 있으며, 식사 후 인슐린이 급격히 분비되면서 혈당의 급락이 일어날 때도 피로를 느끼기 쉽습니다. 이런 증상을 줄이려면 소량씩 자주 먹거나, 균형 잡힌 식사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식곤증은 식사후에 혈액이 소화를 위해 위장을 쏠려서 뇌로 가는 혈류가 감소하여 졸음이 나타나게 됩니다. 탄수화물이 많은 음식을 섭취한 경우 혈당이 급격히 상승했다가 급격히 떨어지는 과정에서 피로감, 졸음이 나타날수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되셨으면 합니다.
<평가>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식곤증은 혈액 분포의 변화로 위장에 혈액이 집중되어 뇌 혈관이 줄어서 발생 할 수 있습니다.
또한 트립토판과 호르몬의 변화, 혈당의 변화, 생체 리듬 변화로 증상이 발생합니다.
식곤증은 일반적으로 자연스러운 현상이지만, 심각하거나 지속될 경우 건강상의 문제를 염려해봐야 합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