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가지런한오소니23
가지런한오소니2323.08.27

북반구와 남반구는 계절이 다른 과학적 이유가 무엇인가요?

북반구와 남반구는 계절이 서로 반대라고 하던데, 북반구와 남바구가 계절이 다른 과학적 이유가 무엇인가요?

북반구에서 여름일 때에 남반구는 여름인 이유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북반구와 남반구의 계절이 다른 이유는 지구의 자전축이 공전 궤도에 대해 23.5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지구는 태양을 공전하고 있는데, 이때 지구의 자전축이 23.5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북반구와 남반구는 태양을 향하는 각도가 다릅니다. 북반구가 태양을 향하고 있을 때는 북반구가 더 많은 태양빛을 받게 됩니다. 따라서, 북반구는 더 따뜻해지고 여름이 됩니다. 반대로, 북반구가 태양을 등지고 있을 때는 북반구가 더 적은 태양빛을 받게 됩니다. 따라서, 북반구는 더 추워지고 겨울이 됩니다. 남반구의 경우도 마찬가지입니다. 남반구가 태양을 향하고 있을 때는 남반구가 더 많은 태양빛을 받게 됩니다. 따라서, 남반구는 더 따뜻해지고 여름이 됩니다. 반대로, 남반구가 태양을 등지고 있을 때는 남반구가 더 적은 태양빛을 받게 됩니다. 따라서, 남반구는 더 추워지고 겨울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북반구와 남반구의 계절이 다른 이유는 지구의 자전축이 약 23.5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지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면서, 자전축은 항상 일정한 방향을 유지합니다. 따라서, 지구의 어느 한쪽 반구는 태양을 향해 기울어지기도 하고, 반대로 태양을 등지고 기울어지기도 합니다.

    북반구가 태양을 향해 기울어져 있을 때, 북반구는 태양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더 많은 햇빛을 받게 됩니다. 따라서, 북반구는 남반구보다 더 따뜻해져서 여름이 됩니다. 반대로, 남반구는 태양을 등지고 기울어져 있으므로, 남반구는 북반구보다 더 추워져서 겨울이 됩니다.

    북반구에서 여름일 때, 남반구는 겨울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북반구가 태양을 향해 기울어져 있을 때, 남반구는 태양을 등지고 기울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북반구는 태양으로부터 직접적으로 더 많은 햇빛을 받게 되고, 남반구는 북반구보다 더 적은 햇빛을 받게 됩니다.

    • 햇빛의 양이 적으면, 지표면이 받는 열도 적어져서 추워집니다. 따라서, 남반구는 북반구보다 더 추워져서 겨울이 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지구의 자전축이 약 23.5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만약 지구의 자전축이 기울어지지 않았다면, 지구의 모든 반구는 태양으로부터 동일한 양의 햇빛을 받게 되어, 계절이 존재하지 않았을 것입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북반구와 남반구의 계절이 다른 이유는 지구가 기울어진 자전축을 가지고 공전하기 때문입니다.

    지구의 자전축은 공전 면에 비해 23.5도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북반구가 태양 쪽으로 기울어질 때는 북반구는 여름이고 낮이 길어지는 반면 남반구는 겨울이 되고 낮이 짧아집니다. 반대로 남반구가 태양 쪽으로 기울여질 때 남반구는 여름이지만 북반구는 겨울이 됩니다.

    이러한 자전축의 기울기 때문에 남반구와 북반구에는 극야와 백야 현상도 나타나며 지구의 공전과 자전에 의해 계절의 변화가 발생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북반구와 남반구의 계절의 차이는 지구의 기울기와 태양의 각도에 기인합니다. 지구는 자전축이라는 가상의 축 주위로 공전하면서 약간 기울어져 있습니다. 이 기울기로 인해 태양의 각도가 변하고, 이는 계절의 변화를 초래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8.27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북반구와 남반구의 계절이 다른 이유는 지구의 축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지구는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동안, 지구 자체의 회전축은 항상 거의 같은 방향을 향하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한 해 중 어느 시점에서는 태양이 북반구에 더 직감하게 비치고 (여름), 반대 시점에서는 태양이 남반구에 더 직감하게 비칩니다 (겨울). 즉, 지구가 태양 주위를 돌면서, 그 기울어진 축 때문에 일년 중 어느 때는 북반구가 태양을 더 가깝게 접근하고 (북반구 여름), 어느 때는 남반구가 태양을 더 가깝게 접근합니다 (남반구 여름).


  • 안녕하세요. 주영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그 이유는 23.5도 지구 자전축이 기울어져 있기 때문입니다

    그 상태로 태양을 1년에 한번씩 돌다 보니,

    북반구가 태양빛을 많이 받는 6개월이 있고,

    반대로 남반구가 태양빛을 많이 받는 6개월이 존재하게 됩니다.

    그렇게 계절이 생기게 되는 겁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