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박이 떨어지는 과학적인 설명이 필요해요!
떨어진 우박들을 보면 여러겹으로 뭉쳐져 단단해진 얼음으로 되어잇습니다. 생각에는 저 엄청 높은고도는 기온이 낮으니 빗물부터 시작해서 하강하는도중에 얼고 , 다른 빗물이 붙고 얼고를 반복해서 만들어지는줄 알앗습니다. 하지만 빗물도 중력을 받아서 속도가 굉장히 빠를텐데 그 짧은시간에 어는거 자체가 불가능하지 않을려나요? 이런 저런생각하니 복잡해지네요. 우박의 생성부터 떨어지는과정을 알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박은 짧은 시간에 만들어 지지 않습니다 낙하하던 비가 강한 상승기류를 만나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다 일정크기와 무게를 갖게 될때 떨어지는 겁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 내부의 빙정에서 눈이 만들어지며 무거워져 상승기류를 이기고 떨어지기 시작합니다. 만일 이대로 지상까지 내려오면 눈이 되고 중간에 녹으면 비가 됩니다.
하지만 구름 일부 영역에 따뜻한 공기가 유입되며 대기가 불안정해지고 강한 상승기류가 있는 곳으로 떨어진 눈이나 빗방울은 다시 상층으로 상승하며 얼게 되고 얼어버린 물방울 표면에 추가로 수증기가 얼어 들러붙게 됩니다. 그리고 다시 상승기류를 이겨낼 정도로 충분히 성장하고 무거워지면 하강하기 시작하는데, 그대로 낙하한다면 작은 우박이 되지만 다시 상승기류를 타면 더욱 크게 성장하여 대형 우박이 되어 떨어지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박은 대기 중에서 형성되는 빙정 입자입니다. 먼저, 빗물이 얼어서 우박이 되는 과정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우박은 대기 중에서 상승 기류에 의해 높은 고도로 올라갑니다. 상승 기류는 일반적으로 구름 안에서 형성되며, 이 구름 안에서는 수증기가 응결하여 물방울이 형성됩니다. 이 물방울은 주로 얼음 핵으로써 작용하며, 주위의 수증기가 이 물방울에 응결하여 얼음 결정이 형성됩니다. 이러한 얼음 결정은 계속 성장하면서 더 큰 입자가 되고, 결국 우박이 형성됩니다.
이후, 우박은 하강 기류에 의해 지면으로 향하게 됩니다. 하강 기류는 구름 안에서의 상승 기류와는 반대로 작용하며, 대기 중에서 빠르게 내려오는 공기의 흐름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하강 기류는 우박을 지면으로 이동시키는 중력과도 관련이 있습니다.
빗물은 중력에 의해 빠르게 하강하므로, 짧은 시간 동안 얼어버리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그러나 우박은 크기가 커지고 형태가 다양해지면서 빗물보다 더 빠르게 하강합니다. 이는 우박이 빗물보다 더 높은 고도에서 형성되기 때문입니다. 높은 고도에서는 기온이 낮아 우박이 얼어버리는 것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우박은 구름 안에서 형성되고 상승 기류에 의해 높은 고도로 올라갑니다. 그 후, 하강 기류에 의해 지면으로 향하면서 크기가 커지고 형태가 다양해집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우리가 떨어지는 우박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