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비상한재칼111
비상한재칼11123.05.29

감기에 걸렸을때 가래가 생기는 원리가뭔가요?

나이
20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X
기저질환
X

목감기에 걸려서 가래가 많이 끼는데 평소엔 멀쩡하다가 감기만걸리면 가래가많이 끼는데 가래가 생기는 원리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관련 전공이 아니라 조심스럽지만

    결국 감기는 바이러스 / 세균의 침임으로 증상이 나타나는데

    면역 기능 및 염증 반응으로 평소보다 기관저 점막 등이 두꺼워 지며 분비물이 증가하고

    그로인한 자극이 발생하면서, 분비물 등을 제거하기 위해 기침/가래가 발생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감기에 걸릴시 인후두염 등이 발생하게 되고, 점막 등에 염증이 생기면서 분비물 증가로 인한 가래가 형성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정상적인 반응입니다. 바이러스가 점막을 자극하게 되면 분비물이 늘어나면서 바이러스를 배출시키려고 하는 반응인 것이지요.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가래는 백혈구와 병균이 덩어리진것이고 이물질이 섞여있습니다.

    피부 상처에서 같은 상황이 진물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감기에 걸리게 되면 우리 몸에서는 항원에 대항하여 면역 반응이 일어나게 됩니다. 그로 인해서 발생하는 염증 물질 및 찌꺼기 등이 가래 형태로 만들어지게 되어 체외로 배출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감기에 걸렸을 때 가래가 발생하는 이유에 대해 궁금하시군요.

    가래는 우리 기도에서 이물질을 배출하는 방법입니다. 따라서 균이나 바이러스가 감염되면 이들을 배출시키거나 이들로 인해 만들어진 노폐물 등을 배출하기 위해 가래가 많이 만들어집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최병관 의사입니다.

    가래는 보통 폐가 손상되거나 질환에 이환되었을 때 발생합니다. 가래는 침과는 다른 점성이 높은 점액이며 일반적으로 기관지는 점액을 분비하여 호흡기를 촉촉하고 보호하는데 외부에서 침입한 작은 입자들을 포획하여 바깥으로 내보낸 결과물입니다. 특히 폐에 감염성 질환이 발병하면 점액의 분비가 많아지며 제거하기위해 기침을 통해 가래를 배출하게 됩니다.

    그러므로 시일이 지나면 일반적으로 저절로 사라지나 상기도 감염 후에도 상당 시간이 흐른뒤에도 지속적으로 가래는 발생할 수 있습니다. 또한 기침이 잦을 경우 위산 등이 역류하여 후두에 염증을 일으키는 역류성 후두염으로 인해 목에서는 이물감을 느낄 수도 있습니다. 그러므로 진해거담제 등을 복용하고 경과를 관찰하시고 증상이 지속된다면 병원에서 진료 및 검사 등을 받으시는 것이 권고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