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작은상괭이231
작은상괭이23121.02.19

병원에서 처방받아 투명종이에 포장된 알약들의 유통기한은 얼마나 되나요?

약국에서 파는 시판용 약들은 플라스틱이나 은색포장을 되어있어서 유통기한이 길어 보이는데

투명한 얇은 기름종이같은거에 포장된 알약들은 유통기한을 얼마나 생각해야될까요??반년 넘은게 있는

데 먹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연철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만약에 표시된 날짜가 지난 의약품은
    약의 효과와 안전성을 보장할수 없기 때문에
    복용하지 않으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이미 개봉된 상태로 받으신 의약품은

    병에 많이 든 알약은 1년,
    다량이 든 시럽 병은 6개월,
    나눠 담긴 시럽 병은 1개월,
    가루약은 제조한 날부터 6개월,
    연고제도 6개월을 개봉 후 사용가능 기간
    으로
    한국병원약사회는 제시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봉투에 포장된 약도 6개월이상 지났다면
    가급적 복용하지 않으시길 권장드립니다.

    사용기한이 지난 의약품을 처분하실때는
    쓰레기통 또는 하수구로 버리지 마시고,
    보건소나 약국에 비치되어 있는
    폐의약품 수거함에 버리시도록 되어있습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효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처받받은신 약에도 유통기한이 있습니다.


    보통


    약포지에 들어있는 알약의 경우 => 최대2개월


    약포지에 들어있는 가루약의 경우 => 최대2개월 (성인) / 최대2주(소아)


    정도로 볼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처방약도 유통기한이 존재하며 약의 종류나 제형마다 유통기한이 다르기 때문에 약국이나 병원에 문의해보셔야 합니다.
    소아용으로 보통 가루나 시럽제제로 되어 있는 경우 유통기한이 더 짧습니다.
    비슷한 증상이 나타나더라고 다른 질환일 수 있으며 증상이 다를 수도 있기 때문에 다시 처방을 받아 드시길 권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포장이 된 약들이라고 유통기한이 짧은 것은 아닙니다. 대부분 실온 보관이기 때문에 보관만 잘하면 플라스틱 통에 들어 있는 약처럼 오랫 동안 문제가 되지는 않지요. 포장 상태에 따라 유통기한이 정해지는 것은 아닙니다. 또한 약 마다 통에 유통기한이 적혀져 있지요. 다만 포장이 된 경우는 확인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얼마나 오래 놔두고 드실 수 있는지 말씀드리기는 어렵습니다. 반 년 지났으면 과감히 버리시면 되겠습니다.

    서민석 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