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을 한 잔만 마셔도 얼굴이 빨개진다면, 술을 입에 대는 것조차 하지 말아야 건강에 문제가 안생기겠죠?
술은 백해무익하다고 배웠는데요.
술을 한 잔만 마셔도 얼굴이 빨개진다면, 술을 입에 대는 것조차 하지 말아야 건강에 문제가 안생기겠죠?
안녕하세요. 가정의학과 전문의 김지아 의사입니다. 충분히 궁금하실 수 있는 내용이라 생각됩니다.
술을 많이 마셔도 안면 홍조 등의 증상이 비교적 덜하거나 늦게 발현되는 사람이 있는 반면, 질문자님이 말씀하신 것처럼 술을 소량만 마셔도 금방 얼굴이 빨개지는 분들도 계십니다.
이렇게 얼굴이 금방 빨개지는 경우는 간에서 알코올을 분해하는 효소가 다른 사람에 비해 적거나 효소의 활성도가 낮은 경우로, 각자의 체질적인 특성이며, 알코올 분해 능력이 낮아 과음을 하게되면 신체 기관에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그렇지 않은 (알코올 분해 능력이 높은) 경우에 비해 높게 됩니다.
그러므로 음주 후 안면 홍조가 다른 사람에 비해 자주, 잘 생긴다면 말씀하신 것처럼 음주를 다른 사람들보다 더욱 자제하는 것이 좋겠습니다.
궁금한 부분의 해결에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얼굴이 술을 마시면 빨개지는 현상은 주로 '알코올 분해효소'와 관련이 있습니다. 이런 분들은 그렇지 않는 사람들에 비해 더 취약한 건강상 위험성을 갖게 됩니다.
이 현상의 주된 원인과 위험성은 다음과 같습니다.
알코올 대사 과정: 체내에서 알코올(에탄올)은 알코올 탈수효소(ADH)에 의해 아세트알데히드로 변환되며, 이 아세트알데히드는 아세트알데히드 탈수효소(ALDH)에 의해 무해한 물질로 분해됩니다.
아세트알데히드의 축적: 일부 사람들, 특히 일부 아시아인에서는 ALDH의 변형으로 인해 아세트알데히드를 효과적으로 분해하지 못합니다. 이로 인해 아세트알데히드가 체내에 축적되면서 혈관 확장, 발적, 두통, 불쾌감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건강 상의 영향: 아세트알데히드는 자체적으로 독성을 가지므로 체내에 오랫동안 축적되면 몸에 해로운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아세트알데히드 탈수효소의 활성이 낮은 사람들은 동일한 양의 알코올을 섭취했을 때 건강에 더 나쁜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암 위험: 일부 연구에서는 아세트알데히드가 체내에 축적될 경우, 구강암, 식도암 등의 위험이 증가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술을 마시는 것은 건강에 좋지 않은 것이 맞습니다. 술을 한 잔만 마셔도 얼굴이 붉어진다면 알코올을 분해하는 효소가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그럴 수 있으므로 최대한 음주를 하지 않는 것이 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분야 답변자 외과 전문의 배병제입니다.
네 그렇습니다. 금방 얼굴이 붉어지는 경우 분해효소가 적다고 이해할 수 있고, 술은 안드시는게 좋습니다.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술을 분해하는 효소가 부족해서 그렇습니다.
그럴경우에는 술은 피하는것이 건강에 좋겠지요..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얼굴 혈액 흐름이 일시적으로 증가하면서 발생할수 있는데 이러한 증상은 아세트알데하이드란 숙취 물질의 축적과 관련이 있습니다. 알콜을 섭취하면 ADH에 의해 아세트알데하이드로 분해되고 ALDH라는 효소가 작용해 초산으로 대사가 됩니다. ALDH2 유전자를 가진 경우 아세트알데하이드를 분해할수 없어서 체내에 축적되면서 얼굴이 붉어지고 구역, 구토, 두통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수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술을 드시지 않는 것이 가장 안전하며 술을 드시는 경우에는 수분 섭취를 충분히 해주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소량의 음주에도 안면홍조가 심하시다면 이는 알코올이 체내에 맞지 않는 상황이기 때문에 되도록 금주를 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관련 전공이 아니라 조심스럽지만
아무래도 알코올 분해 효소가 부족한 (혹은 거의 없는) 경우라서
술을 드시면 다른 사람보다 숙취 및 알코올 해독이 힘드실 가능성이 높을 듯 합니다.
금주 하시는게 맞을 듯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