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용어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투자금융 ECM과 DCM은 무엇인가요?

경제 기사를 보면 증권사나 은행의 투자 금융 내용으로 ECM과 DCM이라는 용어가 많이 나옵니다. E는 자본이고 D는 부채라는 정도만 알겠는데 투자금융 ECM과 DCM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ECM (Equity Capital Markets)**와 **DCM (Debt Capital Markets)**는 투자금융(Investment Banking) 분야에서 자본 조달을 위한 두 가지 주요 영역입니다.

    1. ECM (Equity Capital Markets)

    정의: 기업이 주식 관련 자본을 조달하는 시장을 의미합니다.

    목적: 기업이 주식을 발행해 자본을 조달하거나, 기존 주식을 매각해 자금을 마련하도록 지원합니다.

    주요 활동:

    IPO(Initial Public Offering): 기업의 초기 공모, 즉 상장을 통해 주식을 공개적으로 발행.

    유상증자: 기존 상장 기업이 추가 주식을 발행해 자본을 조달.

    블록딜(Block Deal): 대량의 주식을 한 번에 거래해 자금을 확보.

    전환사채(CB)·신주인수권부사채(BW) 발행: 주식과 연계된 금융 상품 발행.

    참여 기관: 증권사, 투자은행(IB) 등이 기업과 투자자를 연결해 거래를 중개.

    2. DCM (Debt Capital Markets)

    정의: 기업이나 정부가 부채 관련 자본을 조달하는 시장을 의미합니다.

    목적: 채권을 발행해 필요한 자금을 빌리고, 일정 기간 이후에 이자를 포함해 상환.

    주요 활동:

    회사채(Corporate Bonds) 발행: 기업이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채권.

    국채(Government Bonds) 및 지방채(Local Bonds) 발행: 정부나 지방자치단체가 발행.

    프로젝트파이낸싱(Project Financing, PF): 특정 프로젝트를 위해 자금을 조달하는 구조.

    유로본드(Eurobonds) 발행: 국제 채권 시장을 통한 자금 조달.

    참여 기관: 투자은행, 증권사 등이 채권 발행을 주관하고 투자자를 모집.

    ---

    주요 차이점

    ---

    실제 활용

    경제 기사에서 ECM과 DCM은 기업이나 정부가 자금을 조달하는 방식과 관련된 내용에서 등장합니다.

    ECM 예시: 기업이 IPO를 통해 대규모 자금을 유치하거나, 대주주가 블록딜로 지분을 매각.

    DCM 예시: 기업이 회사채를 발행하거나, 정부가 국채를 발행해 재정을 확보.

    두 시장은 기업의 성장과 경제 활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증권사나 은행의 주요 수익원이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ECM과 DCM에 대한 내용입니다.

    ECM이란 Equity Capital Market의 약자로 기업이 주식과 채권 등의 증권을 통해

    자금을 저달하는 것을 돕는 시장을 의미합니다.

    DCM이란 Debt Capital Market의 약자로 기업이 채권을 발행해서 자본을 조달하는

    업무를 돋는 부서나 시장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ECM은 주식자본시장으로 국내 기업의 주식과 채권을 비록한 증권을 통해 자금을 조달하는 것을 돕는 시장이고 DCM은 부채자본시장, 채권자본시장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