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고용·노동

임금·급여

친근한치타8
친근한치타8

하루 평균 급여 또는 시급은은 어떻게 구하나요?

일반 직장입니다. 급여를 담당하고 있습니다.

저희 회사가 조금 특이하게, 직원의 각자 입사날을 월급날로 정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공식적인 월급날이 없고, 각자가 다 다릅니다.

이렇다보니 퇴사할 때 일 한 날짜만큼 급여를 책정하여 지급을 해야하는데,

여기저기 알아보았지만 다들 해석하기 나름인 것 같습니다.

예를 들어 2019년 2월 7일에 입사하였고, 2021년 1월 28일에 퇴사한 직원이 있습니다.

7일에 급여를 지출하였고, 7~28일까지 근무를 한 셈이 됩니다.

그렇다면 어떤 방법으로 7~28일까지 근무한 급여를 계산하게 될까요?

1. 월급을 30으로 나누고, 일한 날을 곱한다. (주말 포함)

2. 월급을 30으로 나누고, 일한 날만 곱한다. (주말 제외)

3. 위 방법대로 하되 주휴수당까지 계산한다.

등 여러가지 방법이 있고, 다 나름대로 합리적인 방법 같습니다. (개인적으론 1번+3번으로 계산합니다.)

하지만 노동법?에서 정한 하루 평균 급여를 계산하는 정확한 방법이 있을까요?

아니면 회사의 재량인가요?

답변 부탁드립니다.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하기 이미지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