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조선시대 남녀의 수명은 어떻게 됐나요?

조선시대에는 남성이 권력이 강하거나 부를 쌓았다면 첩을 두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런데 이런 상황이라면 여자가 훨씬 부족했을 것이라 생각이 들기도 하고 수명이 남자가 짧아서 여자가 더 많았나 싶기도 한데요. 조선시대 남녀의 수명은 어떻게 됐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조선시대 남녀의 평균 수명은 대체로 35세 내외였습니다. 이는 영유아의 사망율이 높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성인이된 이후에는 50~60세까지 사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신분별로는 양반이 경제적 여유가 있어 영양상태 좋아 50~56세로 가장 오래 살고, 왕은 격무에 시달려 40~48세까지 살았습니다. 그리고 가장 오래 살았던 직업군은 환관으로 평균 수명이 60세였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조선시대 남녀 수명은 남자가 35-40세, 여자가 28-30세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유아사망률이 워낙에 높아서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가 된거고, 보통 40-50세 정도로 보고 있습니다. (남자 45-50 / 여자 40-45세)

    또한 양반들은 더욱 위생적으로 더 깔끔한 생활을 하였고, 의료적으로도 더 많은 혜택을 받아 60세까지 생존하는 경우도 많았습니다.

    남녀의 비율은 조선 전기까지는 남자가 더 많았고, 조선 후기에는 전쟁의 여파로 여자가 더 많았다고 알려져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