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빼어난양241
빼어난양241

지구의 남반구와 북반구에서 우주 관측시 어떻게 다르게 관측되나요

지구의 극지방인 남반구와 북반구지역에서 우주의 항성이나 행성을 관측시 다르게 보인다고 하는데요 어떻게 다르게 관측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별자리는 지구의 위도에 따라 관측할 수 있는 별들이 모두 다릅니다. 따라서 북반구와 남반구에서 보이는 별자리는 다르게 되는것이지요! 북반구에서 볼 수 있는 대표적인 별자리로는 북두칠성이 속한 큰곰자리, 카시오페이아자리, 그리고 오리온자리 등이 있습니다. 북반구에서는 북극성을 기준점으로, 이 별이 북극에 가까운 위치에 항상 고정되어 있는 것처럼 보입니다. 따라서 북반구에서는 북극성을 중심으로 하늘이 회전하는 것처럼 보이지요~ 남반구에서는 남십자리가 유명하며, 북반구에서는 보이지 않는 별자리들을 관찰할 수 있습니다. 남반구에서는 북극성이 보이지 않으며, 남극점에 가까운 곳에 밝은 별이 없기 때문에 남십자자리 등이 남반구 하늘을 기준으로 관측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요~ 은하수 또한 위치에 따라 다르게 보이며 남반구에서는 은하수의 중심부가 하늘 높이 떠오르는 모습을 볼 수 있어, 은하수의 세부적인 구조와 더 밝은 부분을 관찰하기 유리하지요! 하지만 지구에서 보는 행성들은 주로 태양계의 황도면을 따라 움직이기 때문에, 북반구와 남반구 모두에서 비슷한 경로로 관측될 수 있습니다. 각 반구에서는 행성이 하늘에서 이동하는 경로의 각도가 다르게 보입니다. 북반구와 남반구는 반대 계절을 경험하기 때문에, 특정 계절에만 보이는 별자리들이 반대되는 계절에 관측됩니다. 일식, 월식, 유성우 같은 천문 현상들도 위치에 따라 다르게 관측될 수 있습니다. 특정 현상은 지구의 특정 지역에서만 관측할 수 있기 때문에, 북반구나 남반구에서 그 현상을 볼 수 있는지 여부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날이 덥습니당 몸조리 잘하시고 좋은하루 되셔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