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화학

밤하늘은하수는나를기다려
밤하늘은하수는나를기다려

철 녹은 갈색인데 알루미늄은 왜 하얀색이나 옥색깔 일까요?

우리가 철 같은 경우는 녹이 쓰게 되면 갈색으로 변하는 것은 모두가 하나 사실인데요. 알루미늄 같은 경우는 녹이 쓰게 되면 하얀색으로되거나 옥색깔로 변하는 데 어떤 화학적 변화가 있어서 그런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철이 녹슬 때는 철과 산소가 반응하여 주로 이산화철(Fe₂O₃)을 형성합니다. 이산화철은 물과 결합하여 수화된 형태로 존재하며, 이는 흔히 보는 갈색의 녹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 과정은 철이 산소와 느리게 반응하여 시간이 지남에 따라 계속해서 산화되고, 이 산화물이 층을 형성하면서 두꺼워지는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반면, 알루미늄은 산소와 매우 빠르게 반응하여 표면에 알루미늄 산화물(Al₂O₃) 층을 형성합니다. 이 산화물 층은 투명하거나 옥색을 띠고 매우 얇고 단단하여 추가적인 산화를 방지하는 보호막 역할을 합니다. 이 보호막 덕분에 알루미늄은 더 이상 산소와 반응하지 않아 내부까지 계속해서 산화되지 않습니다. 이 산화막이 하얀색으로 보이는 것은 산화 알루미늄이 빛을 반사하기 때문이며, 때때로 이 층이 두꺼워지거나 손상될 경우 더 뚜렷한 옥색 또는 하얀색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철과 알루미늄의 녹은 각각의 금속이 산소와 반응하여 형성하는 화합물의 성질과 그 화합물이 환경에 노출되었을 때의 물리적 특성 때문에 색상이 다르게 나타납니다. 철의 경우 지속적으로 산화가 진행되어 갈색 녹을 형성하는 반면, 알루미늄은 즉시 보호막을 형성하여 추가적인 산화를 막아 하얀색이나 옥색의 산화막을 유지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

    알루미늄이 녹슬면 하얀색 또는 옥색으로 변하는 이유는 화학적 변화 때문입니다. 알루미늄은 산소와 쉽게 반응하여 산화알루미늄(Al₂O₃)이라는 치밀한 피막을 형성합니다.

    이 피막은 내부의 알루미늄을 보호하여 더 이상의 산화를 방지합니다.

    산화알루미늄은 일반적으로 하얀색을 띠며, 환경에 따라 옥색으로 보일 수도 있습니다. 이는 철이 녹슬어 갈색으로 변하는 것과는 다른 메커니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