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급300 인데 보험료 40이면 많은가요?
안녕하세요
요세 계속 빵꾸나서 질문좀드리려구요..
제껏만 이정도이고 와이프는 10만원입니다
어느정도가 적당할까요?
다른분들 의견도 듣고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철기 보험전문가입니다.
실비 15000원 미만(단독실비)
건강보험 15만원 (40대중반까지)
건강보험 20만원 (48세~50대이후)
보험은 최소로 준비를 한다면 실비+건강보험만 있으시면 되시는데
성인 기준 으로 실비, 건강보험 합쳐서 20만원 미만이면 합리적입니다
2인 가족기준으로는 40만원미만이 적당합니다.
보험료 때문에 고민이 되고계시다면 불필요한 보장이없는지 고려해서
필요없는 보장만 빼셔도 보험료는 많이 줄어드십니다,
보장분석은 토스 어플 통해서 설계사, 보험사, 소속, 평점, 상담후기등 종합적으로 고려해서 설계사를 선택해서 직접 상담도 가능합니다.
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사실 보험이라는 것이 당연히 보장을 많이 받을 수록 많이 가입할 수록 좋져.
하지만 그것도 납입하는 보혐료가 부담되지 않을때 해당되는 말입니다.
즉, 보험료가 부담된다면.. 언젠가 감액할수도 해약할수도 있기 떄문에.. 그냥 처음부터 부담 안되는 선에서 준비 하셔야 합니다.
대부분들 각 가정의 소득에서 10프로 내외를 보험료로 가지고 갑니다. 그래야 부담이 안되겠죠.
다만 그래도 비싸다 하는 사람은 좀 적게.. 반면 보험에 니즈게 많으신 분들은 더 가져갑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우 보험전문가입니다.
혹시 저축성보험도 같이 하고 계신가요? 질문자님의 나이가 어떤지 몰라서요.
평균적으로 보장석보험은 20만원 내외입니다. 지금 코로나로 인해 보험료가 좀 올랐거든요.
그리고 나이가 어릴수록 당연히 보험료는 저렴합니다.
그리고 혹시라도 종신, CI, 변액 이 세가지 중 한개를 가지고 계시다면 미련없이
해지하셔도 됩니다.
설계사의 이익을 위해서 설계된 보험입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래요~
안녕하세요. 김윤식 AFPK/경제·금융/보험전문가입니다.
일반적으로 보험금은 소득에 10~15%내외까지 유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따라서 보험료 비중이 높은 편이긴 하지만 아주 높다고 할수는 없다고 보이며, 보험중 중복보장이나 불필요한 보험이 없는지 한번 점검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성 보험전문가입니다.
급여의 일정퍼센트를 보험으로 해야 한다는건 영업방식중에 하나입니다.
- 같은 월급을 받는다고 해도 고정지출이 많아 보험료가 부담스러운 경우가 있고,
여유가 있는 사람들이 있는건데 일정비율을 무조건 보험으로 해야 한다는건 없어요.
40만원의 보험안에 어떤 보장이 준비되어 있는지가 중요합니다.
- 가족력이 많아 그 안에 필요한 보장들을 잘 포함해서 가입한거면 좋은 보험이 되는거고,
불필요한 보장만 포함해서 보험료를 올린거라면 나쁜 보험이 되는거구요.
그 전에 가장 중요한건 '내가 부담없는 보험료'겠지만
그 전에 보험이 잘 준비되어 있는지 보장내역과 함께 상담받아보세요.
좋은 결과 있길 바랍니다.
추가적으로 문의사항 있으시면 프로필을 통해 질문 남겨주세요.
안녕하세요. 전승배 보험전문가입니다.
보험은 가입보다 유지가 중요합니다. 납입이 완료된 시점부터 정말 진정한 보험의 진가가 발휘되는 시간이기 때문에, 터무니없는 보험료는 유지가 안되어서 해지로 이어지고 결국 보험사 배만 불리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하게 됩니다.
정말 지속 가능하고 필요한 보험인지를 판단하셔야 합니다. 보장 내용을 제외하고 단순히 보험료만 가지고 얘기한다면 누군가는 정말 아프고 투병으로 개고생하는 중이라면 300중에 150이 나가도 더 못들어놔서 아깝다고 하는 경우가 있을거구요, 경우에 따라서는 맨날 세금처럼 꼬박꼬박 나가는데 뭔지도 모르고 병원도 안가고, 실비 만원도 아깝다고 하는 분도 있을겁니다.
무조건적으로 해지하세요, 라고 할수도 없는게 결국 해지하고 나면? 나중에 또 필요하다고 들어야하는데 그때는 연령 상승으로 인한 보험료 인상이 불가피해지겠죠..
가입하신 보험이 적절한 보험료에 보장 내용이 포함되어있고, 나의 미래와 가족의 노후를 위해서 필요한 내용인지 점검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강온별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에 답변 드리겠습니다 보통 5프로
정도가 적당하다 보시면 되겠습니다. 불필요한
담보는 정리 권장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용 보험전문가입니다.
1 월 40이 어떻게 구성이 되어계신지를 봐야합니다
종신인지 저축인지 보장보험인지를 봐야하며
갱신인지 비갱신인지도 봐야합니다
보통 남성분 20년납 100세 순수 보장형 종합보험으로 15~18만원이면 보험사 최대치까지 가입가능합니다
설계사와 대면하여 보장분석 받아보시는걸 추천드리며.
보험사에 저축하라고 저축형 종신이니 투자하라고 펀드 추천해주는사람은 조심하시는걸 권해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 보험의 필수는 없다고 생각하지만 대부분 사람들이 많이 가입하는 보험을 살펴보자면 아래와 같은 보험은 기본적으로 가입하고 있으니 기준에 참고해서 필요없는 보험과 담보는 정리해보시는것이 좋아보입니다.
1. 실손의료비
: 질병, 상해로 인한 병원비를 보상
실손보험만 구성한다면 금액도 저렴하고 평소 병원비 출혈에 대한 대비도 가능합니다. 또한 보장범위도 가장 넓기 때문에 가장많은 사람들이 가입하고 유지하는 보험입니다.
2. 건강보험
: 암, 뇌혈관, 심혈관 및 수술을 보장하는 보험
종신보험을 유지하고 계신다면 부족한 진단에 대한 담보를 구성하는것이 좋습니다.
3. 자동차보험
: 자동차를 소유하고 운전을 하신다면 의무로 가입하셔되는 보험( 대인 + 대물 )
4. 운전자보험
: 역시 운전하신다면 운전으로 인한 사고시 변호사선임비용, 민형사 합의 및 벌금을 보장하는 보험
- 보험이라는거 자체가 미래의 위험을 대비하여 불확실성에 대한 금전적인 안정장치를 만들어 두는것으로 반드시 필요한 담보는 없습니다. 오히려 가족력이나 본인 건강상태를 참고하여 담보를 적절하게 가입하시는게 좋습니다.
- 보험료는 상품의 구성 및 질문자님의 나이 및 병력에 따라 많은 차이가 납니다. 여러회사 비교해본 뒤 장기적인 시각을 가지고 무리가 없는 금액으로 하는것을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