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기계공학

냉철한라마35
냉철한라마35

귀에 붙이는 멀미 패치는 귀 안에 어떤 영향을 주나요

멀미를 막기 위해서 피부에 붙이는 멀미 패치를 귀 주변에 붙이는데요. 이렇게 되면 귓속에 어떤 작용이 일어나서 멀미를 안하게 되는 것인가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귀 밑에 붙이는 멀미 패치의 주요 성분은 주로 스코폴라민 입니다. 이 약물은 피부를 통해 서서히 흡수되어 혈액으로 들어간후, 뇌에 도달하여 멀미를 유발하는 신호 전달을 억제하는 역할을 합니다.

      멀미는 시각 정보와 우리 몸의 균형을 담당하는 귀의 전정기관(반고리관 등)에서 뇌로 보내는 정보가 일치하지 않을때 발생합니다. 예를들어, 흔들리는 차안에 있을때 눈은 고정된 실내를 보지만, 전정기관은 흔들림을 감지하여 뇌가 혼란스러워지는것입니다.

      스코폴라민은 신경전달물질중 하나인 아세틸콜린의 작용을 차단하여, 전정기관에서 뇌의 구토 중추로 전달되는 과도한 신경 자극을 줄여줍니다. 즉, 귀 자체에 직접적인 변화를 주는 것이 아니라, 귀에서 시작된 균형관련 신호가 뇌에서 멀미 증상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조절하는 방식으로 작동합니다. 이러한 작용을 통해 구역질, 구토,어지럼증과 같은 멀미 증상을 예방하거나 완화시켜 주는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멀미 패치는 주로 스코폴라민이라는 약물

      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는 항콜린성 성질

      을 가지고 있습니다.

      스코폴라민은 중추신경계

      와 말초신경계의 무스카린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결합하여 작용합니다.

      이런 수용

      체들은 구역감과 구토를 조절하는 뇌의 일부

      특히 구토 중추와 연관이 깊습니다.

      멀미 패치를 귀 주변 특히 빈

      얇고 약물이 혈류로 흡수되기 쉽기 때문입니다.

      스코폴라민이 혈류를 통해 체내로 흡수되면 뇌에서

      운동 조율에 관여하는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이 약물은 내이의 유모세포와 중추신경계 사이의

      신경 전달 물질인 아세틸콜린의 작용을 차단함으로써

      멀미의 증상을 줄이는데 이는 뇌가 받는 균형 감각과

      동작에 대한 혼란을 줄여주기 때문입니다.

      결론적으로 멀미 패치는 귓속에 직접

      작용하기보다는 혈액으로 흡수된 약물이

      중추신경계에 영향을 미쳐 멀미를

      유발하는 신경계 신호를 차단함으로써

      작용합니다. 이로 인해 멀미를

      느끼는 뇌의 부위가 차단되어 멀미

      증상이 가라앉게 됩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

      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패취제는 스코폴라민 성분이 피부를 통하여 귀 내부 신경섬유에 직접 전달되는 방식으로, 이 약물이 신경섬유의 활성을 억제해 멀미를 예방하는 효과를 나타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멀미 패치는 귀 주변에 붙이는 것이 일반적으로 귀와 관련이 있는 것이 아니라, 피부를 통해 약물이 체내로 흡수되어 멀미를 예방하는 역할을 합니다. 멀미 패치에는 멀미를 예방하는 약물이 함유되어 있어 피부를 통해 체내로 흡수되면서 중추신경계통에 영향을 주어 멀미를 완화시키는 효과를 발휘합니다. 따라서 멀미 패치가 귓속에 붙는 것은 멀미를 예방하기 위한 약물이 피부를 통해 흡수되기 위한 방법 중 하나일 뿐, 귓속에 직접 작용하는 것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