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약·영양제

약 복용

로맨틱한발발이142
로맨틱한발발이142

어떤 성분의 약을 복용하면 안구건조증이 심해질 수 있다던데, 어떤 것일까요?

나이
44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기저질환

안구건조증에 걸리는 여러 요인 중, 약물 성분 때문에 걸리는 경우도 있다고 들었어요.

어떤 성분의 약을 먹게 되면 눈물이 마르고 안구건조증이 심해질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동욱 약사입니다.

    항콜린작용이 강한 약이나 피지조절제들이 대표적입니다.

    이는 안구건조 뿐만 아니라 전신에 관련해서 건조감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경민 약사입니다.

    항콜린작용이 있는 약을 드시게 되면 안구건조증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영구적으로 그런것은 아니고 약을 끊으면 다시 원래상태로 돌아오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강희 약사입니다.

    항콜린 작용이 있는 약들이 선분비를 억제하여 입마름, 피부건조, 안구건조 등의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항콜린 작용이 있는 대표적인 약이 콧물, 재채기, 알러지 반응을 가라앉히는 항히스타민제이며 복통을 가라앉히는 진경제도 해당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다희 약사입니다.

    대체로 감기약이나 알레르기약에 포함된 항히스타민 성분의 약을 복용할 경우 눈물이 마르고 안구 건조증이 심해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경 약사입니다.



    여드름약 특히 피지조절하는 이소트레티노인 성분 약을 먹으면 안구가 건조해지실 수 있습니다


    인공눈물 사용해주시면 더ㅣ며


    콧물을 마르게해주는 항히스타민제등도 안구건조증 유발 가능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좋아요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더욱 궁금하신 점이 있다면 약료 게시판에 문의해주시면 성실히 답변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하 약사입니다.

    대표적으로 항콜린 작용을 나타내는 항히스타민 성분의 약들을 복용하는 경우에 그럴 수 있습니다

    흔히 알레르기나 비염 등으로 인해 복용하는 약들이 항히스타민 성분으로 되어있으며,

    이뇨제를 복용하는 경우에도 안구건조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홍조 약사입니다.

    항히스타민제 성분이 함유된 약물은 점액질의 분비물을 줄여서 안구 및 구강, 코 등의 점막을 건조하게 만들 수 있습니다.

    해당 성분은 알레르기나, 감기약에 주로 포함되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예를들어 수분을 말릴수 있는 항히스타민제나 비충혈제거제 성분의 경우 안구 건조감을 유발할수 있습니다.또한 이소트레티노인 성분도 안구 건조를 유발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현재 기저질환으로 복용하는 약이 있는 경우 사전에 확인을 해보길 권장드립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도움되셨다면 '추천' 눌러주시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