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구체적목표,바로성취,결과피드백
구체적목표,바로성취,결과피드백

인건비, 식재료, 배달료등 실질소득 대비 가파르게 물가가 오르고 있는데, 25년도에도 계속 상승기조가 나타날지 궁금합니다.

전세계적으로 여러가지 보이지 않는 무역전쟁, 관세전쟁으로 물가가 가파르게 오르고 있고,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도 인건비, 식재료, 배달료등 실질소득 대비 가파르게 물가가 오르고 있는데, 25년도에도 계속 상승기조가 나타날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기본적으로 우리나라는 최저시급을 계속 올리고 있고 기름한방울 안나는 나라기 때문에 수입물가도 지속적으로 상승을 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올해를 포함해서 매년 2프로 정도는 물가가 꾸준히 앞으로도 상승하겠구나 생각을 하시는게 맞을거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2025년에도 인건비, 식재료, 배달료 등의 상승으로 물가 상승 압력은 계속될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글로벌 공급망 불안과 무역·관세 전쟁 등 외부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역시 실질소득 증가율보다 생활비 상승이 더 빠른 흐름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물가가 25년도에도 계속 상승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안타깝지만 물가는 계속해서 오를 수 밖에 없습니다.

    물가 오르는 것은 결국 현금 가치가 떨어져서 그런데

    계속해서 현금 가치는 떨어지기 때문에 2025년도도 물가 상승의 기조는 이어지게 될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물가 상승세가 꽤 심각한 수준입니다. 한국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인건비, 식재료, 배달료 할 것 없이 다 오르고 있죠. 이게 단기적으로 끝날 것 같지는 않습니다. 특히 무역 전쟁이나 원자재 가격 상승 같은 글로벌 요인들이 계속 영향을 주고 있어서요.

    우리나라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벌써 예상치를 넘어섰고, 특히 먹는 거랑 외식 물가가 많이 올랐습니다. 환율도 불안하고 인건비도 계속 오르니 당연한 결과겠죠.

    미국이 계속 관세 높이는 정책을 유지하면 수입하는 물건 가격이 올라서 우리 같은 나라는 소비자 물가도 같이 올라갈 수밖에 없습니다. 게다가 국제 정세가 불안정해지면 에너지나 원자재 가격이 또 뛸 수도 있고요.

    한국은행이 금리를 내리면서 경기 부양을 하려고 하는데, 이게 오히려 물가 상승 압력을 더 키울 수도 있다는 점도 우려스럽습니다. 이미 외식이나 가공식품 가격은 계속 오르는 추세고요.

    개인 입장에서는 일단 소비 습관을 바꿔야 합니다. 좀 더 저렴한 식재료나 대체품을 찾고, 배달 음식 시켜 먹는 횟수를 줄이는 식으로 돈을 아껴야죠. 저축도 그냥 하는 게 아니라, 금리 높은 상품이나 물가 연동되는 국채 같은 걸 활용해서 내 돈 가치를 지키는 전략이 필요합니다.

    정부도 가만히 있을 수는 없을 겁니다. 아마 식료품이나 에너지 가격 안정을 위해서 추가적인 대책을 내놓을 가능성이 있고요. 무역 전쟁 때문에 피해 보는 산업에는 지원금이나 세금 혜택 같은 걸 더 줄 수도 있겠죠.

    결론적으로 2025년에도 물가 오름세는 계속될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개개인은 허리띠 졸라매고 똑똑하게 돈 관리해야 하고, 정부도 물가 안정을 위한 정책들을 잘 추진해야 할 겁니다. 쉽지 않은 시기가 될 것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네 여전히 25년도도 꾸준한 물가 상승이 예상됩니다

    • 그 이유로는 현재 우리나라 경제가 어렵기 때문에 정부는 금리를 지속적으로 내릴 것이며

      이로 인해 유동성이 풀리며 물가가 상승하고 달러의 가치가 올라게 됩니다

    • 이렇게 되면 수입물가가 상승하며 전반적인 물가를 상승시키는 효과를 가져오게 되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현재 한국의 경제를 보았을 때 미국의 관세 전쟁과 더불어 환율이 상승했기 때문에 물가는 현재보다 상승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2025년에도 물가 상승 기조가 이어질지는 여러 복합적인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현재까지의 상황과 전망을 종합해 보면, 물가 상승 압력이 지속될 가능성이 높지만, 그 폭은 다소 둔화될 수 있다는 전망도 있습니다. 지정학적 갈등, 기후 변화 등으로 인한 공급망 불안정은 여전히 물가 상승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국제 유가 변동, 신재생에너지 전환 과정에서의 비용 증가 등으로 에너지 가격 상승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최저임금 인상, 숙련 노동자 부족 등으로 인건비 상승 압력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기후 변화, 곡물 수출 제한 등으로 식량 가격 상승이 지속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올해엔 더욱 가중된 물가인상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미국 트럼프 대통령으로부터 시작된 관세 정책으로 전세계에서 인플레이션 발생 우려가 제기되었고, 실제 가격이 상승하는 생필품들이 하나둘 늘어나기 시작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수입에 의존해야 하기 때문에 물가 상승시 타격이 더욱 가중화되는 현상을 보이는데요. 올해에도 물가 상승은 막을 수 없을 것이라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