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경제용어

아이언캐슬
아이언캐슬

호텔경제학이란 무엇이고, 최근에 이슈가 되는 이유가 무엇인것인가요?

최근에 호텔경제학이라는게 이슈가 되고 있는것 같던데요, 그런데 호텔경제학이란 무엇이고, 최근에 이슈가 되는 이유가 무엇인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최근 대선 토론에서 나오고 있는 호텔 경제학은 돈의 순환 효과로 외부 자금이 들어오지 않아도 경제가 순환될 수 있다는 이론입니다. ‘호텔경제학’의 논란은 지난 16일 전북 군산 유세에서 이재명 후보가 자신이 8년 전 주장했던 내용을 다시 언급하면서 시작됐는데요. 이준석 후보는 “호텔 예약을 취소해도 돈만 돌면 경제가 살아난다는 괴짜 경제학"이라며 비판했습니다.

  • 호텔경제학이라는 용어가 따로 있는것은 아닙니다.

    이번 대선에서 이재명 후보가 주장한 경제 순환 관렴된 말인데 누군가 호텔을 예약하면 호텔은 그 예약금을 다른곳에 사용하고 그렇게 돈이 돌고 도는데 그 누군가가 예약을 취소해서 그 마을에 들어온 돈이 없어도 돈이 한바퀴돌면서 경제가 순환한다는 이론을 다른 후보들이 그게 말이 안된다며 '호텔 경제학' 이라는 용어를 붙이고 비꼬는 식으로 쓰는 말입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전문가입니다.

    호텔경제학은 경제학 이론 중에 하나는 아니고 돈의 순환과 경제 활성화를 설명하기 위한 일종의 정치적 비유에 해당합니다. 분배와 지역 내 유동성 순환 즉, 승수효과 등을 강조하곤 합니다. 최근 대선판에서 회자된 사안인데 예를 들자면...

    가령, 한 여행객이 호텔 예약금으로 10만원을 지출하면 호텔 주인은 고객에게 받은 돈 10만원을 가지고 지역 마트에 가서 소비를 하고 마트 주인은 10만원으로 치킨과 맥주를 마시는데 지불했는데 해당 여행객은 여행을 취소하고 호텔 주인에게 10만원을 환불 받게 됩니다. 정작 대차는 0이나 지역경제에 돈이 돌아 활성화 될 수도 있다는 견지의 발언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호텔경제학이라는 것은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시장이 실제 부가가치를 창출하지 않았더라도

      돈이 돌게 되면 시장이 활성화 되고 내수가 살아난다는 이론을 말합니다.

    • 즉 부가가치를 위해 노력하지 않아도 누군가 돈을 일단 공급될 것이라는 기대만 있어도 시장이

      활기를 띈다는 것으로 현재 대선후보의 경제적 마인드에서 나온 내용입니다.

    • 이 이론이 틀리고 맞고를 논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국가의 경제를 어떻게 이끌고 갈 것인지를 엿볼 수 있는

      내용이기 때문에 더욱 큰 의미를 갖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호텔경제학에 대한 내용입니다.

    호텔경제학이란 결국 돈이 돌게 되면

    경제가 돌게 된다는 승수효과를

    설명하기 위해서 등장한 내용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