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얼마전에 사다리에서 낙상 사고가 있었습니다. 머리 CT를 찍어봐야 할까요?

성별
여성
나이대
27
복용중인 약
경구피임약

7일 전에 약 1.2미터 높이 사다리에서 시멘트 바닥으로 떨어졌는데 허리로 떨어지고 그 다음 머리를 한번 바닥에 박았거든요.. 허리가 걱정이라 허리 엑스레이랑 CT를 찍어봤는데 허리는 별 이상이 없어서 그냥 그렇게 지나갔는데 요새 며칠 입맛도 별로 없고 밤에 잘 때 먼가 심장이 긴장되는 느낌 들면서 두근거리고 그래서 몇일 잠을 설쳤는데 혹시 머리에 문제가 생기면 이럴 수가 있나요? 아니면 그냥 불안장애 이런건지.. 머리에 피나거나 혹나거나 이런건 없었는데 CT로는 이상이 안나올까요? MRI 를 찍어봐야 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정재균 의사
    정재균 의사
    프리랜서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사다리 낙상 후 며칠간 입맛이 없고 심장이 두근거리는 증상으로 걱정이 많으시겠네요. 낙상 시 머리를 부딪힌 경우, 겉으로 보이는 외상이 없더라도 뇌진탕이나 두부 손상의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CT 검사에서 이상이 발견되지 않더라도 MRI 검사를 통해 미세한 뇌 손상 여부를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심장이 두근거리는 증상은 불안 증상과 유사하지만, 두부 손상 후에도 나타날 수 있으므로 정확한 감별이 필요합니다.

    현재 겪고 계신 증상이 불안장애와 관련이 있을 수도 있지만, 낙상 사고와 관련된 증상일 가능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불안 증상과 더불어 입맛 부진, 수면 장애가 동반되는 경우,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의 진료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필요에 따라 심리 검사나 추가적인 검사를 통해 현재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사다리에서 떨어지신 후에 경험하신 증상 때문에 걱정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낙상 후 두통, 어지러움, 메스꺼움, 또는 신경학적 이상 징후가 발생한다면 머리 CT를 통해 뇌 내부의 출혈이나 손상이 있는지를 확인해 보는 것이 중요할 수 있습니다. 비록 즉시 눈에 띄는 외상이 없었다 하더라도, 몇 가지 징후나 증상이 나타난다면 검사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현재 겪고 계신 입맛 저하, 심장의 두근거림, 그리고 불면과 같은 증상은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머리 외상의 결과로 발생할 수 있지만, 심리적 요인이나 스트레스, 불안 장애와도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만약 지속적으로 증상이 심해지거나 새로운 신경학적 증상이 나타난다면, 가능한 빨리 병원에 방문하여 추가적인 검사나 진찰을 고려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MRI는 CT와 비교했을 때 다른 종류의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더 세밀하게 내부 조직을 살펴볼 수 있기 때문에 전문의와 상의하여 필요 여부를 결정하시면 됩니다. 본인의 건강 상태에 대해 충분히 설명을 듣고 최선의 결정을 내릴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머리에 문제나 충격을 받았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증상으로는 두통, 구토, 혼란, 기억력 문제, 시력 이상, 또는 지속적인 두근거림 등이 있습니다. 특히, 머리 CT에서 별다른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다면, 큰 외상성 뇌손상 가능성은 낮다고 볼 수 있어요. 그러나 몇 가지 점검할 사항이 있습니다.

    입맛이 없고, 심장이 긴장되는 느낌과 두근거림이 나타나는 것은 불안장애나 스트레스, 그리고 외상 후 스트레스 증후군(PTSD)일 수 있습니다. 이런 증상은 심리적인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으며, 사고 후 불안이나 긴장이 심해져 몸에 영향을 줄 수 있죠.

    불안장애나 심리적인 충격이 심장 두근거림이나 불면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심리적 원인도 의심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CT는 큰 외상성 뇌출혈이나 심각한 뇌손상을 찾는 데 유용하지만, 미세한 뇌의 손상이나 혈종이 있다면 MRI가 더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MRI는 조직의 세밀한 변화를 더 잘 찾을 수 있기 때문에, 두통이나 지속적인 증상이 있다면 MRI를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