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사성분마다 느끼는 통증의차이..
일단 전 개인적으로 젤 아팟던 주사가 팔에맞는 폐렴구균백신이고 담으로 아팟던게 엉덩이에맞는 암
브록솔주사엿습니다. 물론 엉덩주사는 팔에비해 덜햇지만 그래도 많이 아프더라구요 세번째로 아팟던
게 녹십자4가 독감백신입니다. 1.이게 팔에맞는 백신종류든 엉덩이주사든 주사성분에 따른 통증차이
도 잇나요? 2.응급실 등에서(링거관련)정맥주사를 근육에 잘못놓거나 반대로 근육주사를 정맥에 실수
로 놓으면 이것때문에 환자가 쇼크나 사망할 수도
잇나요?
주사제의 성분에 따라서 느끼는 통증의 정도는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디클로페낙 성분의 근육 주사는 맞으면 상당히 아픕니다.
해당 경우는 약물 종류에 따라서 위험할 수도 있고 위험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가령 앞서 언급하신 암브록솔 같은 주사는 크게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그렇지만 국수마취제인 리도카인 같은 약물이나 아나필락시스 때 사용하는 에피네프린 같은 약물은 근육 주사를 하여야 할 때 정맥으로 주입할 경우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백신 접종 후 근육통으로 힘든 경우도 있지만 백신 성분에 따라 유독 통증이 수반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모든 약은 적합한 방법에 되어야 투약 되어야 합니다. 만일 예시와 같이 근육 주사만 허가된 약이 정맥으로 정주 시 쇼크 등 응급상황이 생길 가능성이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주사에 따른 통증 차이는 주사 부위뿐만 아니라 주사 성분에도 영향을 받습니다. 예를 들어, 폐렴구균 백신이나 독감백신 같은 백신은 지질 성분이나 단백질이 포함되어 있어 주사 후 근육이나 조직에 자극을 줄 수 있어요. 엉덩이 부위는 팔에 비해 근육이 두껍고 지방층이 있어 상대적으로 덜 아프게 느껴질 수 있구요. 하지만 브록솔 주사와 같은 약물은 주사 성분에 따라 엉덩이 부위에서도 통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정맥주사를 근육에 잘못 놓거나, 근육주사를 정맥에 잘못 놓는 실수는 쇼크나 사망을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은 매우 드물지만, 혈액순환에 영향을 미칠 수 있고, 감염이나 약물 반응이 잘못되면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주사 시 정확한 부위와 방법으로 주사를 놓는 것이 중요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