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내과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

심장 두근 거림이 있는 상태에서 전신마취 시 심정지가 올 수도 있나요?

성별
여성
나이대
48
기저질환
비만/당뇨/자궁근종

오늘 산부인과 간호사하고 통화를 했는데, 평소 심장 두근거림증상으로 개복수술을 취소했다고 하니

심장초음파와 심전도가 정상이면 해도 된다는 취지로 이야기를 하더라구요.

부정맥인데 전신마취를 하는 수술을 하는 게 안전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입니다.

    업로드해주신 증상의 설명과 자료는 잘 보았습니다.

    "부정맥인데 전신마취를 하는 수술을 하는 게 안전할까요?" 이것을 판단하는 의사는 마취과의사입니다.

    마취과의사는 이 판단을 심장내과 혹은 순환기내과 선생님의 의견을 바탕으로 판단을 하구요

    물론 가장 좋은 것은 아무런 위험요인 없이 수술을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그런 경우는 흔하지는 않겠지요

    그래서 환자분들이 전신마취를 할 때 마취과 선생님이 여러과에 자문을 구합니다.

    AA 환자 전신마취하에 BB 수술을 할 환자입니다. CC 라는 문제가 있는데 전신마취 가능할까요?

    이런식으로 말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심장 두근거림이 있다고 해서 무조건 전신마취 중 심정지가 발생하는 것은 아닙니다. 다만, 두근거림의 원인이 부정맥이라면 마취 전 정확한 평가가 중요합니다. 일반적으로 수술 전 시행하는 심전도(ECG), 심장초음파(Echo), 필요 시 홀터 검사(24시간 심전도) 등을 통해 심장 기능과 리듬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마취과 전문의가 이를 기반으로 전신마취의 안전 여부를 판단합니다. 부정맥도 종류가 다양해요. 특히 부정맥이 심장 기능 저하를 동반하거나, 심장에 구조적인 문제가 있는 경우라면 마취와 수술 모두 신중하게 결정해야 하죠

    다행히 심전도와 초음파에서 특이 소견이 없었다면 대부분의 경우 수술은 가능하며, 마취과에서 심장 상태를 고려한 맞춤 마취 계획을 세우게 됩니다. 하지만 비만, 당뇨, 자궁근종 등의 기저질환은 마취 위험도를 높일 수 있으므로, 사전에 마취과 외래를 통해 철저한 사전 평가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두근거림이 자주 발생하거나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라면 수술 전에 심장내과에서 추가 검사를 받고 이상 유무를 확실히 확인한 후 수술을 진행하시는 것이 안전합니다. 수술과 마취가 꼭 필요한 상황이라면, 대학병원이나 마취과 시설이 잘 갖춰진 병원을 선택하시는 것도 추천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