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화려한고라니231
화려한고라니231

코로나확진이후 재확진까지의 기간

성별
남성
나이대
34

코로나 확진이후 전문가마다 의견이 틀리던데 얼마까지 항체가있어서 재확진이 안되는가요? 누구는 3개월, 누구는 6개월 이렇게 의견이 너무 다르고 정확한 데이터가 없는것 같아서 헷갈리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은영 의사입니다.

      코로나 19 확진 후 3~6개월간은 획득된 항체로 인해 재감염 가능성은 매우 낮지만 확진 후 3개월 이후 부터는 항체가 낮아져 다른 변이 바이러스 뿐만아니라 같은 변이 바이러스에도 재감염 가능합니다.

      현재 코로나 19의 재감염율은 20%가 넘었고 3회 이상 감염자도 2000명 이상 나오고 있습니다. 재감염 시 입원율 및 위중증도가 상승하므로 재감염에 주의하셔야겠습니다.

      궁금증 해소에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훈 의사입니다.

      방역당국 지침에 의하면

      [재검출] 격리해제 후 PCR 검사 결과 '양성'이 확인된 경우

      [단순 재검출] '최초 확진 후 45일' 이내 재검출이고, 확진자 노출력이 없고, 임상증상도 없는 경우

      [재감염 추정]

      1. 증상 유무와 관계 없이 '최초 확진일 90일' 이후 재검출 된 경우

      2. '최초 확진일 45~89일' 사이에 재검출이면서, 증상이 있거나, 확진자 노출력이 있는 경우

      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명확하게 발표된 기간이 없어서 답변이 다릅니다.

      일반적으로는 3개월 이내에는 재감염에 대한 발표가 없습니다. 그 이후에 재감염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명훈 의사입니다.

      감염 이후에 단기간 내에 재감염이 될 가능성은 낮습니다. 연구에 따르면 백신 접종 이후에 돌파 감염이 되었을때는 효과가 뛰어난 항체가 형성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시간이 경과하면서 항체 효과가 감소하고 변이 바이러스에 노출되었을때는 감염이 될수 있습니다. 항체의 효과가 지속되는 것은 6개월 정도이나 3개월까지 항체의 효과가 유지가 되고 그 이후로는 효과가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코로나 감염 후 완치가 되면 우리 몸에 자연항체가 형성되어 있습니다. 다만 이 항체도 3~6개월뒤에 소실됩니다. 이후에는 감염에 노출될 경우 재감염 될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또다른 돌연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되면 재감염 될 수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안중구 소아과의사입니다.

      백신접종자의 돌파감염과 마찬가지로 왼치자도 재감염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감염 이후에도 추가 감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부스터 접종등 추가접종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오미크론 재감염률에 대한 명확한 연구결과는 아직 나오지 않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주 의사입니다.

      우선 한번 감염시 약 6개월 정도는 쉽게 재감염이 되지 않는다는 것이 일반적인 의견입니다.

      하지만 코로나에 확진후 완치된 분들의 경우 생성되는 항체의 양이 작고 변이형에는 취약할수 있어서, 언제든지 재감염의 가능성은 있습니다.

      확률적으로는 약 0.03%의 확률로 재감염이 될수 있지만 주변에서 많은 사례가 있으므로 평상시 개인방역에 철저히 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에 확진된 이후에는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가 만들어져 일정 기간 동안 유지되기 때문에 한동안 바이러스에 재차 감염될 가능성이 매우 낮아집니다. 하지만 시간이 경과하며 항체의 역가가 감소하게 되면 추후에 재감염의 가능성은 충분히 있습니다. 보통 항체는 약 6개월 이상 지속됩니다.

    •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재감염의 사례는 확진 이후 3개월이 지나서 다시 감염이 되는 경우라고 진단을 합니다. 3개월이 지난 이후라고 하는 것은 우리나라 중앙방역대책본부에서 정의한 기준입니다.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예방접종으로 얻어진 항체는 그 양이 점점 떨어지면서 보통 6개월 정도 지나면 부스터샷을 맞아야한다 라고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감염에 의해 얻어진 항체의 경우에는 더 오래가고 백혈구가 항체를 만들었던 기억이 있기 때문에 코로나 바이러스가 다시 몸에 들어오자마자 다량의 항체를 만들기 때문에 훨씬 오래갑니다. 그래서 한번 감염된 경우 재감염의 확률은 낮습니다. 그런데 바이러스가 변이를 한 경우에는 이전에 생긴 면역체계가 변이를 일으킨 바이러스는 인식을 못 하기 때문에 재감염 될 확률이 생길 수 있습니다. 예를 들면 오미크론에 걸렸던 사람은 스텔스 오미크론에는 걸릴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