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대출

똑똑한그늘나비46
똑똑한그늘나비46

명목이자율, 실질이자율 개념 설명과 예시

1.실질이자율과 명목이자율 개념 대학교1학년 수준으로 부탁드립니다.


2. 돈을 대출 받은 채무자가 인플레이션인 상황에 화폐가치에 따른 이득이 나려면 명목이자율/실질이자율 중 어느것이여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실질이자율이라고 하는 것은 [액면가+액면이자율] / [채권 시장거래가격] 으로 산정한 것이며 명목이자율이라고 하는 것은 발행당시에 책정되어짐 액면이자율을 말해요

    2.대출 받은 채무자가 인플레이션 상황에서 화폐가치에 따른 이익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명목이자율이 낮아져야 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영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 명목이자율은 인플레이션 효과가 포함된 것이구요, 실질이자율은 인플레이션 효과를 제거한 '실질적인' 이자율입니다.

    예를 들어 어느 금융상품의 이자가 연 10%라고 가정하겠습니다.(만기 1년)

    만일 질문자님이 만원에 이 금융상품을 매입하면 1년 뒤에 11,000원을 돌려받게 됩니다.

    여기서 10%가 명목 이자율입니다.

    그런데 그 해에 물가상승률이 높아서 인플레이션이 10%가 발생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본래 finance는 극단적인 예를 가정하면 이해가 빠릅니다)

    그럼 작년에 1만원짜리의 지폐가 인플레이션 효과를 고려하면 올해는 11,000과 동일하게 됩니다.

    결국 해당 금융상품에 투자를 하였어도 인플레이션 효과 10% 때문에 실질 수익률은 0%가 됩니다.

    2.위 내용을 바탕으로 채무자의 입장에서 생각해보면 됩니다.

    명목이자율 = 실질이자율 + 기대인플레이션이므로

    돈을 빌린 채무자의 입장에서는 정해진 이자를 지급해야 하므로 인플레이션이 높은 경우 이득이 발생합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1. 명목이자는 표면적인 이자율이라고 보시면 되며

    실질 이자율은 물가상승률을 제외한 실제 수령하는 이자율입니다.

    2. 채무자 입장에서는 당연히 이러한 이자율 보다는 인플레이션 상황을

    더 주목해야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