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장이 짧으면 에너지가 높고 투과력이 높다고 하는데, 왜 uva와 uvb의 유리창 투과 여부는 그 반대인가요?
파장이 짧으면 에너지가 높고 투과력이 높다고 하는데, 왜 uva와 uvb의 유리창 투과 여부는 그 반대인가요? uva는 파장이 길어 유리창을 투과하고 uvb는 파장이 짧아 유리창을 투과하지 못한다고들 하잖아요
안녕하세요. 아하의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파장이 짧을수록 에너지가 높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투과력이 높다고 많이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이 법칙은 모든 재료에 동일하게 적용되지는 않으며, 각각의 물질은 특정 파장의 빛을 선택적으로 흡수하거나 반사할 수 있습니다. 유리는 UVB보다 긴 파장을 가진 UVA를 더 잘 투과시킵니다. 이는 유리의 물리적, 화학적 구조가 UVA를 통과시키고 UVB를 더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데 그 이유가 있습니다. 유리의 성분과 두께에 따라 이러한 특성이 다를 수 있으며, 이 때문에 다양한 유형의 특수 코팅이 UV 차단을 위해 사용되기도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파장이 짧으면 에너지가 높고 투과력이 높다는 것은 맞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파장이 짧은 uva는 유리창을 투과할 수 있지만 파장이 더 짧은 uvb는 유리창을 투과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이것은 단순히 파장의 차이만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유리는 자외선을 흡수하는 물질이기 때문에 uva와 uvb 모두 유리창을 투과할 수 없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uva는 파장이 더 길어서 유리를 통과하는 양이 많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유리창을 통과할 수 있습니다. 반면에 uvb는 파장이 짧아서 유리를 통과하는 양이 적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유리창을 통과하지 못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것도 모든 경우에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 유리의 종류에 따라서도 uva와 uvb의 투과 여부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유리창의 두께나 투과하는 자외선의 양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uva와 uvb의 유리창 투과 여부는 단순히 파장의 차이만으로 설명할 수 있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파장이 짧을수록 일반적으로 에너지는 높지만 물질과 상호작용할 가능성도 커녀서 오히러 투과력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uvb는 파장이 짧고 에너지가 커서 유리 내 분자들과 쉽게 반응하거나 흡수되며 이로 인해 대부부 차단되지만 파장이 더긴 uva는 유리 분자들과의 상호 작용이 적어 상대적으로 잘 투과됩니다 즉 투과력은 단순히 에너지 크기만이 아니라 파장과 물질의 흡수 특성 간 상호작용에 따라 결정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