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2의 베네수엘라가 될것인가요??
요즘 우리나라 경제 상황을 보면 너무 불안합니다. 금값은 실제 구매 시 1돈당 100만 원을 찍었고, 환율도 공항 기준 1달러에 2100원까지 올라갔다고 하더라고요. 이게 거의 IMF 때보다 더 심한 수준 아닌가요? 물가도 계속 오르고, 원화 가치는 급격히 떨어지는 것 같고요.
솔직히 이런 상황을 보면 ‘우리나라가 제2의 베네수엘라처럼 되는 건 아닐까?’ 하는 걱정이 듭니다.
이건 단순한 일시적 현상일까요, 아니면 진짜 심각한 위기의 전조일까요?
안녕하세요. 김명주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경제는 소비와 투자 부진 등으로 저성장이 계속되고 있으며, 환율과 물가 상승 압력을 겪고 있습니다.
다만 베네수엘라만큼의 극심한 경제 붕괴와는 달리 복합적인 리스크가 누적된 국면으로 봄이 타당합니다.
안녕하세요. 박현민 경제전문가입니다.
요즘 환율과 금값 급등 때문에 불안감을 느끼는 분들이 많지만, 우리나라가 베네수엘라처럼 극단적인 인플레이션 상황으로 가는 건 아닙니다. 베네수엘라는 석유 의존 경제 구조와 재정 붕괴, 통화 남발로 경제 시스템이 무너졌던 반면, 한국은 산업 기반이 다양하고 외환보유액도 세계 상위권입니다. 지금의 환율 상승은 달러 강세와 글로벌 불확실성 영향이 크며, 물가 상승도 일시적 요인이 섞여 있습니다. 다만 금리 차와 경기 둔화가 지속되면 체감 불안은 커질 수 있어, 정부의 환율 안정 정책과 물가 관리가 중요한 시기이긴 합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가 제2의 베네수엘라가 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일단 우리나라가 베네수엘라처럼 될 가능성은
제로에 가깝다고 이야기 드리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금은 현물로 살때 부가세 10프로 추가로 붙어서 고시가격보다 10프로 더 비싸게 사야하죠 그걸 떠나서 국제 금시세는 조만간 1돈에 100만원을 넘어갈거라 많은 사람들이 예상합니다 국내 경기가 안 좋아서 오른다기 보다는 국제 경기가 안 좋아서 전세계 금가격이 상승하는거죠
그리고 공항 환율이 보통 시중은행에서 환전하는거 보다 조금 비싸게 하긴 하지만 1달러를 2100원에 환전하는건 말도 안되는 헛소문입니다! 2100원에 환전을 했다면 거의 사기당한거라고 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금을 1돈 구매할때 100만원까지는 아닙니다.(90만원 이하) 환율 역시 은행연합회와 하나은행에서 발표한 자료만 보더라도 1500원을 넘지는 않았습니다. IMF 사태 당시 원달러 환율은 2000원가까이 했습니다.
제2의 베네수엘라가 될 가능성은 현저히 낮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금값, 환율 급등은 글로벌 지정학, 물가기대, 달러강세 등 외부 요인과 국내심리가 결합해 단기 급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만 한국은 자유변동환율, 충분한 외화보유액, 견조한 대외자산, 건전한 금융 감독 체계를 보유해 상황이다릅니다.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베네수엘라와 한국은 근본적으로 다른 산업형태이며 근본적으로 경상수지가 아예 서로 다른 구조이기 때문에 베네수엘라로 비유하는것은 잘못된 비유입니다.
베네수엘라는 오직 수출이 원유하나였고 거기다가 중질유로 미국에서만 대다수 수입할수있는 특성과 미국내 정제설비로 정제하는 구조였습니다
즉 베네수엘라는 자체 정제설비도 부족하고 이외에는 제조업이든 다른 산업자체가 수입대체산업일뿐 경쟁력 자체가 없어서 경상수지자체가 대부분 적자이고 원유가 과거 크게 강세일때만 경상수지가 흑자인 구조였습니다. 그러나 2000년대들어서 미국의 셰일오일개발로 베네수엘라 원유 수출이 크게 줄고 이후 국제유가가 지속적으로 하향안정되면서 경상수지가 적자 폭이 누적으로 확대되며 경제가 망한것이고 부정부패가 포퓰리즘까지 가세하며 나라가 망한것으로 보시면됩니다.
그러나 한국은 제조업우위에 있고 외환보유고는 전세계 10위이내권으로 선진국 수준으로 굉장히 많이 보유하고 있고 2000년대들어서 매년 경상수지 흑자가 증가하고 있는 즉 체질적으로 다른것이며 지금은 원화보다는 엔화 약세가 더 심한 현상으로 글로벌 통화가치의 일시적 변화와 자본수지가 미국으로 투자가 대거늘어나면서 변화가 일어난 요소로 즉 외국인 자본유출이 아니라 해외자산으로의 투자증가로 인한 변화로 보는게 맞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이러한 흐름이 발생하면 이는 되돌리기 어렵다고 볼수 있습니다. 흐름이 좋지 못하면 복지를 줄여서라도 흐름알 바꿔야하는데 이것이 지속되면 그 흐름을 바꾸기 더 힘든만큼 복지를 줄이고 구만큼 자금을 현재의 흐름을 바꾸는데 쓰는 것이 좋다고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