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기화학 sec-butyl기 질문
뷰틸기 중에 sec-butyl이 주사슬에 직접 연결된 탄소가 2차 탄소라고 해서 sec-butyl이라고 하더라구요.
c-c-c-c-c-c-c(모체탄소)
l
c-c-c-c(sec-butyl기 탄소)
그림에서 진한 c가 주사슬 탄소, 연한 c가 뷰틸기의 c라고 할 때요. 즉 모체의 탄소 중 왼쪽에서 2번째 탄소에 뷰틸기가 이어져 있고, 뷰틸기의 4개의 탄소중 왼쪽에서 2번째 탄소가 모체의 탄소랑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할때요.
뷰틸기의 왼쪽에서 2번째 탄소는 뷰틸기의 1번째 탄소랑 3번째 탄소랑 직접 연결되어있으므로 2차 탄소이므로 sec-butyl이라고 설명하더라구요. 근데 뷰틸기의 왼쪽에서 2번째 탄소는 모체의 탄소랑도 직접 결합되어 있으니까 3차탄소 아닌가요?? 저는 그래서 3차탄소가 그림은 tert여야 되는거 아닌가 라고 생각했거든요.
다른 강의에서도 치환기의 sec-,tert가 모체에 연결된 탄소는 제외하고 탄소 차수를 매기는게 이해가 안가요
질문2
만약 치환기의 sec,tert를 매길 때 모체에 연결된 탄소는 탄소의 차수에 끼지 않는다면, 치환기의 탄소는 3차까지 밖에 없는 건가요? 원래 탄소는 4차까지 있는데 모체에 연결된 탄소는 세지 않는다면 치환기의 탄소는 3차까지밖에 없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유기화학에서 sec-butyl이라는 명명법은 화합물의 구조에 따라 치환기의 특정 탄소가 어떻게 연결되어 있는지를 나타내는데 사용됩니다. 이러한 치환기의 분류는 다소 혼란스러울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치환기 자체의 내부 구조와 모체 사슬과의 연결 방식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1. sec-butyl의 정의 및 설명
sec-butyl 치환기에서는, 치환기를 구성하는 주요 탄소 사슬 중 하나가 이차 탄소(secondary carbon)로, 두 개의 다른 탄소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모체 사슬에 연결됩니다. sec-butyl 구조에서 관련 탄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1차 탄소(primary carbon) : 한 개의 탄소에만 연결되어 있는 탄소.
2차 탄소(secondary carbon) : 두 개의 다른 탄소에 연결되어 있는 탄소.
sec-butyl에서 중요한 포인트는 모체 사슬에 연결된 탄소가 이차 탄소라는 점입니다. 여기서 이차 탄소는 치환기 내에서 두 개의 탄소와 연결되어 있지만, 모체 사슬과의 연결을 고려할 때 그 탄소는 실제로는 삼차 탄소(tertiary carbon)의 성질을 갖게 됩니다.
2. 치환기의 탄소 차수 계산
치환기의 탄소 차수를 매길 때, 모체에 연결된 탄소는 그 차수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이는 치환기의 이름을 결정하는데 있어서 내부 구조에 초점을 맞추기 때문입니다. sec-butyl에서 모체에 연결된 탄소는 계산에서 제외되고, 치환기 내부에서 이차 탄소로 분류됩니다.
3. 치환기에서의 최대 탄소 차수
치환기에서 탄소의 차수가 3차까지 있는 것은 사실입니다. 치환기 내에서 4차 탄소(quaternary carbon)가 형성되려면 그 탄소가 네 개의 다른 탄소와 결합해야 합니다. 이는 통상적인 직선형 알킬 치환기에서는 발생하지 않습니다. 4차 탄소는 보통 더 복잡한 분자 구조나 고리 구조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치환기의 분류와 명명법은 유기화학에서 상당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며, 각각의 치환기가 어떻게 분류되고 명명되는지를 이해하는 것은 다양한 유기 반응과 화합물의 구조 이해에 필수적입니다. 이러한 개념을 더 심도 있게 접하고 싶으시다면 Organic Chemistry (Pula Y. Bruice)와 같은 문헌을 추천드립니다.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