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의료상담

안과

기발한무당벌레114
기발한무당벌레114

노안이 생기는 이유가 있을까요???

성별
남성
나이대
31

보통 나이가 있으신 분들은 시력이 좋지 않아서 돋보기안경을 쓰시는 분들도 있고 노안이라고도 부르던데 혹시 왜 생기는건지 알 수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남희성 의사입니다.

    노안은 아래 그림에서 수정체 부위의 조절에 문제가 생기는겁니다.

    이 수정체가 가까운 물체를 보면 두껍게, 먼 물체를 보면 얇게 모양이 변해야하고 이 조절을 모양체라고 하는 근육이 조절합니다.

    그런데 나이가 들면서 이 모양체의 힘이 떨어지다보니 가까운 물체를 볼 때 수정체가 충분히 두꺼워지지 못해서 물체가 흐릿하게 보이는 문제가 발생하는거죠.

    노화에 의한 현상으로 노안을 늦출 수 있는 방법이 없습니다.

    수정체가 두꺼워지지 못하는 만큼을 돋보기 안경으로 대체하거나 수정체를 제거하고 인공 수정체를 삽입하는 치료를 하는게 노안 증상을 개선하는 방법이 되겠습니다.

    요즘 건강기능식품중에서 노안을 개선한다는 식으로 광고하는 제품들이 있던데 노안의 기전상 뭘 먹는다고 좋아질 수 있는 증상이 아닙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민 의사입니다.

    노안의 경우 수정체의 초점이 안구의 근육을 잡아주는 인대 등이 퇴화되면서 초점을 잘 맞추지 못하면서 생기는 경우가 많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노안의 주요 원인은 수정체의 탄력 저하와 조절 능력 감소입니다.

    나이가 들면서 수정체가 딱딱해지고 모양체의 수축력이 감소하여 근거리 시력에 장애가 발생합니다.

    당뇨, 다발성 경화증과 같은 기저질환이 있거나 전자기기 사용을 많이하여 눈의 피로도가 증가하면 노안이 앞당겨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질문에 대한 답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노안은 자연적인 노화 과정의 일부로, 눈 속의 수정체가 나이가 들면서 탄력성을 잃어 가까운 거리에 초점을 맞추는 능력(조절력)이 감소하는 현상입니다. 젊었을 때 수정체는 고무처럼 유연해서 모양을 쉽게 바꿀 수 있어 다양한 거리의 물체에 초점을 맞출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나이가 들면서 수정체는 점차 단단해지고, 이를 조절하는 모양체 근육도 약해져 가까운 곳을 볼 때 초점 맞추기가 어려워집니다. 보통 40대 초중반부터 시작되는 노안은 누구나 겪는 자연스러운 과정이지만, 컴퓨터나 스마트폰 사용 증가, 자외선 노출, 당뇨나 고혈압 같은 만성질환 등의 요인으로 더 일찍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31세 남성분께서 노안 증상에 관심을 가지신다면, 현재는 조기 노안보다는 눈의 피로나 다른 시력 문제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가까운 것을 볼 때 지속적인 어려움을 경험하신다면, 안과 검진을 통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평소 눈 건강을 위해 적절한 휴식, 균형 잡힌 영양 섭취, 블루라이트 차단 안경 착용 등의 관리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노안이 생기는 이유는 노화 때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나이가 들고 몸이 노화되어 기능이 퇴화하며 수정체의 탄력성도 떨어지고 모양체 근육의 기능이 저하되면서 노안이 발생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노안은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럽게 발생하는 현상으로, 주로 눈의 조절 능력이 감소하면서 생깁니다. 눈의 수정체(렌즈)가 나이가 들면서 점차 탄력성을 잃고 굳어지기 때문에 가까운 물체에 초점을 맞추는 데 어려움이 생기게 돼요. 이로 인해 가까운 글씨나 물체를 볼 때 흐릿하게 보이거나, 눈을 찡그리게 되며, 돋보기 안경을 착용하는 경우가 많은거죠.

    또한, 나이가 들수록 눈의 근육이 약해져서 조절이 어려워지며, 이 역시 노안의 원인 중 하나입니다. 보통 40대 중반부터 노안의 증상이 나타나기 시작하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점 더 심해져요. 이는 생리적인 변화이므로 완전히 예방할 수는 없지만, 적절한 안경을 사용하거나 눈 건강을 관리하는 방법으로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