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공손한산양35
공손한산양35

진화론적 관점에서 볼 때 동양인이 서양인보다 진화가 더 된건가요?

원숭이에서 진화한 것으로 볼 때

털이 적을 수록 진화가 된 것으로 보고

생식기도 안전하게(?) 쓰지 않을 때는 작은 상태로 유지하는 게 진화된 것으로 보는 데 어떤 인종이 더 진화한 인종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진화론적 관점에서 인종 간의 비교를 "진화가 더 되었다"는 방식으로 표현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습니다. 진화는 특정한 방향이나 목표를 지향하는 과정이 아니라, 주어진 환경에 대한 적응의 과정입니다. 서로 다른 환경에서 생존과 번식에 유리한 특징들이 선택되고, 이러한 과정을 통해 종 내에서 다양성이 발생합니다.

    피부의 색깔, 머리카락의 질감, 신체의 크기 등은 모두 각 환경에 맞춰 진화한 결과입니다. 피부 색깔은 햇빛에 대한 노출과 관련이 깊으며, 강한 자외선 아래에서는 짙은 피부 색깔이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는 데 도움이 되고, 자외선이 약한 지역에서는 밝은 피부가 비타민 D의 합성을 돕습니다.
    또한, 생식기의 크기나 체모의 양과 같은 특성이 진화의 "진행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가 되지 않습니다. 이러한 특성들은 각 인구 집단의 조상들이 살았던 환경과 생활 방식에 따라 다르게 발달했을뿐, 어떤 집단이 더 "진화했다"고 평가할 수는 없습니다.

    진화는 생물학적 특성이 어떻게 환경에 적응해 가는가를 설명하는 이론일 뿐, 인간 집단 간의 우월성을 비교하는 도구가 아닙니다. 모든 인간은 유전적으로 매우 유사하며, 인종적 차이는 전체 유전자의 아주 작은 부분만을 차지합니다.

  • 진화론적 관점에서 특정 인종이 다른 인종보다 "더 진화되었다"고 평가하는 것은 과학적으로 부적절한 접근입니다. 진화는 특정 환경과 조건에 적응한 결과일 뿐, 우열이나 진화 정도를 나타내는 지표가 아닙니다. 털의 양이나 생식기관의 특성은 단지 각 인종이 적응해온 환경적 요인의 결과로 해석되며, 모든 인간은 동일하게 현대 인류로서 진화 과정을 공유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