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대표기업 삼성전자가 최근 밀고 있는 분야에는 어떤 분야가 대표적인가요
우리나라에서 최고의 기업 그리고 전세계적으로도 유명한 기업이 삼성전자인거
같은데요 그래서 궁금합니다 우리나라 대표기업 삼성전자가 밀고 있는 분야는 어떤
분야인가요?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전자가 주력하는 사업분야는 당연히 DX와 DS 부문인데요. DX는 TV, 모니터, 냉장고, 세탁기, 에어컨 등의 전자제품이고, DS는 D램, 낸드 플래시, 모바일AP 등 반도체입니다. 그외 SDC 스마트폰용 OLED패널 등도 주력하는 사업분야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전자가 최근 밀고 있는 산업은 AI 반도체(HBM, SoC 등)와 파운드리(첨단 2나노 공정) 중심의 반도체, AI 기반 프리미엄 가전, 플래그십 스마트폰•폴더블폰, 그리고 로봇•모빌리티 분야입니다. 특히 고대역폭메모리(HBM)와 AI 반도체, 차세대 폰, 헬스케어•로봇 등에서도 주도권 강화를 추진하며, 미래 성장동력 확보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전자가 최근, 그리고 앞으로도 적극적으로 밀고 있는 핵심분야는_
인공지능(AI)및 AI반도체_ 차세대 반도체(HBM, 파운드리), AI자체 역량 강화
로봇
메드텍(의료기술/ 헬스케어)
차세대 통신(6G)
이 외에도 삼성전자는 기존의 주력 사업인 스마트폰, 가전분야에서도 AI, 연결성, 친환경 기술 등을 접목하여 프리미엄 전략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특히 전장 사업 분야에서도 자회사 하만을 통해 차량용 디스플레이 등 차세대 전장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삼성전자는 단순히 하드웨어 생산을 넘어, AI를 중심으로 한 소프트웨어 및 플랫폼 역량 강화를 통해 미래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로봇, 메드텍, 차세대 통신 등 신기술 분야에서 선제적인 투자와 기술개발을 통해 미래 산업을 주도하려는 전략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를 위해 적극적인 R&D 투자와 더불어 M&A 가능성도 열어두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반도체입니다. 최근 AI기술이 각광받으면서 HBM 등 고대역폭 메모리의 수요가 증가했습니다.
HBM에 대한 부분이 중점 사업이며 이 외에 전자제품, 특히 스마트폰과 TV 등의 판매가 주력 사업으로 보시면 됩니다.
참고 부탁드려요~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전자에서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섹터는 반도체 입니다.
해당 반도체의 수출이 삼성전자 주가에 큰 영향을 주게 됩니다
오늘 특히 큰 상승을 이루었던 주요 사유도 테슬라와 반도체 칩 수출이 확정된
영향이 매우 주요하게 작용한 모습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삼성전자는 디램이나 낸드플래시 같은 메모리반도체 분야에서 세계 1위라고 할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시스템 반도체 측면에서도 강점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미지 센서나 차량용 반도체의 두뇌 역할을 하는것이 시스템 반도체입니다. 여기에 추가로 애플과 세계 모바일 시장에서 1, 2위를 다투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기업인 삼성전자의 경우 인공지능과 관련된 반도체 또는 고대역폭의 메모리를 활용한 메모리 연계사업이 주요한 사업 중의 하나입니다. 최근에는 엔비디아와의 협업과정에서 좋은 결과를 얻지 못하였지만, 오늘자로 발표된 테슬라와 삼성전자의 반도체 협약을 통해 장기적인 관점에서 반도체 분야에서 좋은 실적을 나타낼 가능성도 존재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것은 파운드리 기술을 활용한 것으로 파운드리 분야에서 삼성의 높은 기술력을 인정받은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 대표기업인 삼성전자가 최근 밀고 있는 분야에 대한 내용입니다.
예, 최근에는 새로운 다른 사업은 보이진 않고
여전히 파운드리 분야와 메모리 반도체 (특히, HBM) 에
역량을 다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