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5.20

우리 역사에서 조선의 건국 시기에 이방원은 고려의 충신이었던 정몽주를 어떻게 해서 죽이게 되었는지 이유가 궁금합니다

우리의 과거 역사에서 고려말 조선의 건국 시기에 이방원은 고려의 충신이었던 정몽주를 어떻게 해서 죽이게 되었는지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누리함
    누리함23.05.20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몽주는 1391년 인물추변도감제조관(人物推辨都監提調官)이 되고, 안사공신(安社功臣)의 호를 더했으며, 이듬해 『대명률(大明律)』 · 『지정조격(至正條格)』 및 본국의 법령을 참작 · 수정해 신율(新律)을 만들어 법질서를 확립하려고 힘썼습니다. 당시 이성계의 위망(威望)이 날로 높아지자 조준(趙浚) · 남은(南誾) · 정도전(鄭道傳) 등이 이성계를 추대하려는 책모가 있음을 알고 이들을 제거하려 하였습니다.


    그런 와중에 명나라에서 돌아오는 세자 왕석(王奭)을 마중 나갔던 이성계가 황주에서 사냥하다가 말에서 떨어져 벽란도(碧瀾渡)에 드러눕게 되자, 그 기회에 이성계의 우익(羽翼)인 조준 등을 제거하려고 하였습니다. 그러나 이를 눈치 챈 이방원(李芳遠)이 아버지 이성계에게 위급함을 고해 그날 밤으로 개성으로 돌아오게 하는 한편, 역으로 정몽주를 제거할 계획을 꾸몄습니다. 정몽주도 이를 알고 정세를 엿보려 이성계를 문병하였으나 귀가하던 도중 선죽교(善竹橋)에서 이방원의 문객 조영규(趙英珪) 등에게 살해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건국의 일등공신 중 한명인 태종 이방원은 목은 이색 야은 길재와 3대 유학자로 불리운 포은 정몽주를 포섭하고자 찾아가 하여가로 마음을 돌리려했으나 정몽주는 단심가로 답하면서 불사이군을 주장합니다. 이에 이방원은 조선 건국에 방해된다고 생각하여 선죽교에서 정몽주를 철퇴로 살해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