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넉넉한키위191
넉넉한키위191

폐와 아가미를 볼때 이 두 숨쉬는 기관의 차이와 어떤게 더 숨을 많이 쉬는 기관인가요

폐와 아가미는 숨쉬는 기관인데요 그렇다면 이 폐와 아가미를 보게된다면 이 두 숨쉬는 기관의 차이가 무엇인지 궁금하며 더 숨을 많이 쉴수있는 기관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폐와 아가미는 모두 생물체가 생존에 필요한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데 사용되는 호흡 기관입니다. 하지만 서로 다른 환경에 적응하며 진화해온 만큼, 그 구조와 기능에 있어 여러 가지 차이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폐는 폐포라고 불리는 작고 둥근 주머니들이 모여 이루어진 스펀지 같은 기관입니다. 폐포는 얇은 막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이 막을 통해 산소와 이산화탄소가 교환됩니다. 반면 아가미는 얇고 넓은 판들이 겹쳐져 있는 구조로, 물속에 녹아있는 산소를 흡수하는 데 특화되어 있습니다.

    그래서 폐는 공기 중의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폐포의 넓은 표면적과 얇은 막 덕분에 효율적인 가스 교환이 가능합니다. 아가미는 물속에 녹아있는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아가미 판의 넓은 표면적을 통해 물과의 접촉면을 최대한 넓혀 산소를 효율적으로 흡수합니다.

    하지만 어떤 기관이 더 많은 숨을 쉰다고 단정하기는 어렵습니다. 왜냐하면 각 기관은 서로 다른 환경에 적응하여 진화했기 때문입니다. 폐는 공기 중에서, 아가미는 물속에서 각자의 환경에 최적화된 방식으로 호흡을 합니다.

    그래도 두 기관의 장단점은 분명 있습니다.

    폐의 장점이라면 공기 중의 산소 농도가 물속보다 높기 때문에 더 많은 산소를 흡수할 수 있고 육상 환경에서의 이동이 자유롭습니다.

    하지만 물속에서는 폐가 압력을 받아 제대로 기능하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아가미의 장점이라면 물속에서 효율적으로 산소를 흡수할 수 있으며 아가미의 단점이라면 공기 중에서는 아가미가 건조되어 기능을 잃습니다.

    폐와 아가미는 각각 다른 환경에 적응하여 진화한 호흡 기관입니다. 따라서 어떤 기관이 더 우수하다고 말하기보다는 각각의 환경에 맞는 최적의 기관이라고 할 수 있으며 단순히 더 많은 산소를 얻는 기관을 말한다면 폐가 더 많은 산소를 얻을 수 있는 기관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폐는 육상에서 더 많은 산소를 흡수할 수 있는 기관이며, 아가미는 수중에서 적응된 방식으로 산소를 추출합니다. 각 기관은 그 환경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폐호흡을 하는 인간의 경우 아가미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물 속에 호흡하며 살 수 없는데요, 이처럼 사람과 물고기는 서로 다른 환경에 적응하여 살아갑니다. 사람은 폐를 통해 공기 중의 산소를, 물고기는 아가미를 통해 물 속에 녹아있는 용존산소를 받아들여 호흡을 합니다. 이때 공기 중의 산소 함량은 약 21%를 차지하는데 비해, 물 속에 녹아있는 용존산소는 물 1L 당 1% 미만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수중생명체가 용존산소가 낮은 물 속에서도 산소를 받아들일 수 있는 원리는 수많은 가닥으로 갈라져서 물 접촉면을 최대로 넓힌 아가미를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폐는 복잡한 분기 구조를 가지며, 기도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고, 폐포(alveoli)라는 미세한 주머니에서 산소와 이산화탄소의 교환이 이루어집니다. 폐는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산소를 처리할 수 있지만, 그 효율성은 동물의 크기와 대사 요구량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폐는 고산지대나 산소 농도가 낮은 환경에서 산소를 효과적으로 처리하는 데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아가미는 물속에서 산소를 매우 효율적으로 추출할 수 있지만, 이는 물속의 산소 농도가 낮기 때문에 아가미의 구조가 이와 같은 환경에 적합하게 발달한 결과입니다. 아가미는 수조의 흐름과 산소 농도에 따라 효율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어떤 기관이 더 많은 산소를 처리하는지는 환경과 동물의 생리적 요구에 따라 달라집니다. 폐는 공기 중에서 높은 산소 농도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반면, 아가미는 물속에서 낮은 산소 농도에서도 효과적으로 산소를 추출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폐는 공기를 흡입하여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기관입니다. 공기 중의 산소를 효율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구조화되어 있습니다.

    아가미는 물속에서 산소를 추출하는 기관입니다. 물이 아가미를 통과하면서 물에 녹아 있는 산소를 흡수하고 이산화탄소를 

     폐는 흡입과 호흡을 통해 산소를 얻습니다. 대기압의 변화를 이용해 공기를 들이마시고 내뱉습니다.

    아가미는 물이 흐르면서 산소를 추출합니다. 물이 아가미를 지나가는 동안 아가미의 섬모나 근육이 작용해 산소를 추출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숨을 더 많이 쉬는 건 절대적인 비교가 불가합니다. 다만, 아가미가 숨을 더 힘들게 쉬는 건 어느 정도 사실입니다. 아가미는 물 속의 용존 산소 분자를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폐보다 훨씬 복잡한 과정을 거칩니다. 감사합니다.

  • 폐와 아가미는 각각 육상과 수중에서 산소를 얻기 위해 진화한 기관입니다. 폐는 공기 중의 산소를 흡수하고, 아가미는 물 속의 산소를 흡수합니다. 폐는 공기 중의 산소 농도가 높기 때문에 한 번의 호흡으로 많은 산소를 얻을 수 있지만, 아가미는 물 속에서 산소 농도가 낮기 때문에 물을 지속적으로 흘려보내면서 산소를 흡수해야 합니다. 일반적으로 폐는 단위 시간당 더 많은 산소를 흡수할 수 있는 효율적인 기관입니다. 그러나 물 속에서는 아가미가 더 적합하며, 각각의 기관은 자신이 속한 환경에서 최적화된 방식으로 작동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