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통일신라 때의 애노의 난은 무엇인가요?

애노의 난은 무엇인가요?

난생 처음 듣는 말이라 도무지 감이 안잡히네요

이러한 난이 일어난 배경과 결과를 알려주세요~

전문가 님들의 답변 기다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889년(진성여왕 3) 신라 사벌주(沙伐州:지금의 상주)에서 일어난 농민항쟁.

      신라는 하대 이후 진골귀족간의 왕위쟁탈전이 계속되면서도 경주를 중심으로 사치·향락의 풍습이 만연하여 지방에 대한 착취가 더욱 가혹하여졌다. 이에 따라 농민들은 점차 토지로부터 이탈되어 갔고 중앙의 정치기강은 문란해졌으며 지방에 대한 통제력도 약화되었다.

      헌덕왕대(809∼826)부터는 농민항쟁이 일어나기 시작했다. 이에 자극받은 육두품(六頭品) 출신의 지식인들은 개혁방안을 주장하였으나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마침 흉년으로 기근이 일어나자 지방의 주군(州郡)에서 조세를 바치지 않아 국고가 텅 비었고, 재정의 궁핍이 심하였다.

      이에 중앙정부에서는 관리를 파견하여 조세를 독촉하였으나, 이미 중앙의 위령(威令)이 땅에 떨어지고 병제(兵制)가 쇠퇴해지면서 토호(土豪)가 발호하게 된 상황에서 이러한 조치는 오히려 지방의 동요를 일으켰다. 이에 곳곳에서 조세의 납부를 거절하고 농민봉기가 발생하였는데, 원종·애노의 난은 그 중 최초의 것이다. 이 난이 발생하자 중앙정부는 나마(奈麻) 영기(令奇)를 파견하여 진압하게 하였으나, 농민군의 기세에 눌려 제대로 싸워 보지도 못하였다. 이 난은 신라 중앙정부가 더 이상 지방을 통제하기 어렵게 되었다는 사실을 의미한다.

      이 난의 구체적인 전개과정은 밝혀져 있지 않지만 이 사건을 계기로 농민들의 집권층에 대한 저항은 확대되었다. 또한 중앙의 힘이 지방까지 미치지 못하게 됨에 따라 지방에 독자적인 세력 기반을 쌓은 세력가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북원(北原:지금의 원주)의 양길(梁吉), 죽주(竹州:지금의 안성)의 기훤(箕萱), 완산(完山:지금의 전주)의 견훤(甄萱) 등이 잇달아 일어나 신라의 붕괴를 촉진시켰다.

      [네이버 지식백과] 원종·애노의 난 [元宗哀奴─亂]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진성왕] 3년(889) 나라 안의 여러 주(州)⋅군(郡)에서 공물과 조세를 보내지 않아 나라의 창고가 텅 비어 나라의 씀씀이가 궁핍하게 되었으므로 왕이 사자를 보내 독촉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도적들이 곳곳에서 벌떼처럼 일어났다. 이에 원종(元宗)과 애노(哀奴) 등이 사벌주(沙伐州)를 근거지로 반란을 일으키자 왕이 나마(奈麻) 영기(令奇)에게 명하여 (이들을) 붙잡아 오도록 하였다. 영기가 적의 보루를 멀리서 바라보고는 두려워 앞으로 나아가지 못하였으나 촌주(村主) 우련(祐連)은 힘껏 싸우다가 죽었다. 왕이 칙명을 내려 영기의 목을 베고 나이 10여 세 된 우련의 아들에게 촌주의 직을 잇게 하였다.

      -출처:티스토리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라는 중대의 전성기를 지나 하대로 접어들면서 정치·사회적인 모순이 심화되어 갔다.중앙 정부의 지방 통제력이 약화되었으며, 관(官)이나 귀족 및 사원의 토지 겸병 확대로 일반 농민들은 점차 토지로부터 유리되어 갔다고 합니다.국가 경제의 기반인 농민층이 분해된 반면, 사치와 향락의 풍조로 중앙 정부의 재정 수요는 점점 늘어만 갔지요. 진성여왕 대에는 이러한 모순이 극도로 심화되었음에도 근본적인 개혁안을 마련하지 못하였다고 합니다.국고가 텅 비고 재정이 궁핍하게 되자, 중앙 정부는 사자를 파견해 오히려 조세를 독촉하였다.이러한 조세 부담은 피지배층인 일반 농민에게 그대로 전가되었으며, 이에 저항하는 농민 봉기가 전국적으로 일어났다고 합니다. 대표적인 농민 봉기가 바로 사벌주를 근거로 해 일어난 원종과 애노의 난입니다.

      이 난은 진압은 되었지만 중앙 정부와 지방 토호 세력에 저항하며 일어난 신라 하대의 농민 봉기로서는 선구자적 의의를 지니며, 이후 지방 세력의 형성과 성장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신라 고대국가를 붕괴시키는 기폭제가 됩니다.

    •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라는 전성기인 중대를 벗어나 하대로 접어들고 있었습니다.

      점차 중앙에 권력 싸움으로 지방을 신경 쓰지 못하게 되고 지방호족들이 점차 중앙정부 말을 듣지 않게 됩니다.(통제력이 약화)

      하지만 중앙정부에서는 정신을 못차리고 사치와 향락에만 더욱 빠지게 되고 왕실을 운영하는 재정의 부담은 날이 갈수록 더 커지게 됩니다.

      그럼에도 근본적인 대책을 내지 않고 사자를 지방에 보내 세금을 걷을 것을 독촉만 하게 됩니다. 지방에서는 그 세금의 부담을 백성들에게

      그대로 전가하고 백성들이 더이상 견디지 못하고 봉기하게 되는데 이때 대표적으로 일어난 농민농기가 원종과 애노의 난입니다.

      원종과 애노의 난을 진압하기 위해서 신라조정에서 진압군을 보내지만 이미 신라의 군사력은 많이 약해졌고 상무정신도 없었습니다.

      농민군의 기에 꺽여서 대치만 하다가 돌아오게 됩니다. 이것이 원종과 애노의 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