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증여세 이미지
증여세세금·세무
증여세 이미지
증여세세금·세무
포근한느시85
포근한느시8523.11.04

전세 잔금 부모님 명의로 입금 했는디 증여세 내야 되나요?

안녕하세요 21년도에 전세금을 부모님 이름으로 집주인에게 1억정도 내주셨는데 증여세 내야되나요?? 아직 전세 만료 X 입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자성세무회계 김성은 세무사입니다.

    전세 만료 후 다시 반환할 금액이라면 증여가 아니므로 차용증을 작성하고 추후 반환하시면 되고, 다시 반환할 금액이 아니라 아예 받은 것이라면 증여에 해당합니다.

    직계존속으로부터의 증여는 10년 간 5천만원(미성년자는 2천만원)까지 증여재산공제가 적용되므로 1억 증여 시 5천만원이 과세표준이 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안녕하세요. 이용연세무회계사무소의 이용연 대표세무사 입니다.

    자녀의 주택임차보증금을 부모님이 주택 임대인에게 직접 지급한 경우 증여한 것인

    지 또는 자녀에게 대여한 것인 지 여부에 따라 세무처리가 달라집니다.

    1) 자금을 자녀가 증여받은 것으로 보는 경우 : 자녀에게 증여재산가액에서 증여재산공제

    5천만원을 차감한 후의 금액에 대하여 증여세율 10%를 적용하여 자녀는 자녀의 주소지

    관할세무서에 증여세 신고 납부를 해야 합니다.

    2) 자녀에게 부모님이 주택임차보증금을 대여한 경우 : 자녀가 부모님으로부터 2.17억원

    이하의 자금을 무이자로 차입시 이자를 지급하지 않는 것에 대하여 자녀에게 증여세를 과세

    하지 않습니다.

    이 경우 자녀와 부모 사이에 금전소비대차계약서 작성 및 날인, 계좌 대 계좌로 입금,

    향후 자녀의 재산, 소득으로 차입금을 부모에게 계좌로 입금하여 변제를 해야 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고 판단하신 경우 "좋아요 + 추천"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문용현 세무사입니다.

    전세 만료 이후에 1억을 부모님에게 상환하신다면 증여에 해당하지는 않습니다.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