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왜 서구권 나라에서는 여왕이 나올수 있었던 건가요??

안녕하세요

예전 역사를 보면 유교 문화권에 있는 나라에서는 여왕이 있었다는걸 들어 본적이 없는데,

이에 반해 서구권의 나라에서는 종종 여왕이 나오곤 했는데요

왜 서구권 나라에서는 여왕이 나올수 있었던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서구권 나라에서 여왕이 등장할 수 있었던 것은 여성 왕위 계승 허용, 남성 후손 부재, 정치적 상황, 사회 변화 등 다양한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서구권에서는 여성도 남성과 동등한 권리와 지위를 가지고 있으며, 여왕이 등장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문화적 전통으로 이어져왔습니다. 대표적으로 영국의 엘리자베스 1세 여왕, 스웨덴의 크리스티나 여왕 등이 있습니다 반면 유교 문화권에서는 남성 중심의 가부장적 문화가 발달해 있어 여성이 정치적 지도자로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 제한적이었습니다. 따라서 유교 문화권에서는 여왕이 등장하는 경우가 드물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라에서 여왕이 나온거랑 마찬가지 이유입니다

      낮은 계급에게 왕자리를 줄 바에야

      차라리 여자한테 주겠다 라는 거였죠

      특히 영국은 섬나라라서

      본토 유럽에 있던 살리카법 (Salic law, 여성의 상속을 막는 전통)의 영향을 덜받아서

      여왕이 자주 나왔습니다. 영국이 특이했던 거죠

      이 살리카법은 프랑크 왕국에서 생긴 법이기 때문에

      프랑크의 후손인 독일과 프랑스는 여왕이 한명도 없고

      유럽 다른 나라도 여왕 한두명이 전부 입니다

      한반도도 신라때 여왕 3명은 있었으니 별 다를게 없죠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서양권에서만 여왕이 나온 것은 아닙니다. 우리 나라 신라도 진성, 진덕, 선덕 여왕등 3명의 여왕이 존재 했습니다. 이렇게 여왕이 나왔다는 것은 그 만큼 그 사회가 전통과 혈통을 강조 했다는 의미 입니다. 즉, 오리지날 왕족이 아니면 왕이 될 수 없다는 의미로 받아 들여 지기에 꼭 좋은 현상이라고 할수 많은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신라시기에도 여왕이 있었습니다.

      선던여왕 등 2명이 신라 시대에 있었고 통일신라

      시대에도 여왕이 있었습니다. 신라는 혈통을

      중요시 여겨서 가능했던 일입니다. 영국도

      혈통을 중요하게 여겼던 나라여서 여왕이 나올수

      있었습니다. 유교가 자리잡았던 조선 및 중세 동양 에서는 있을 수 없는 일이었지요.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으면 좋아요 부탁드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