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상입었을 때 응급처치를 어떻게 해야하는지?
안녕하세요
화상을 입었을때 1도화상의 경우 미보연고만 발라주면 된다고 하지만 2도이상의 화상은 내원을 해야된다고 하더라고요
그런데 2도이상이여도 항생제 연고 바르는거 외에 다른 조치를 하나요?
물론 피부이식을 받아야되는 수준의 중상이면 모르겠는데 그정도 수준이 아니라면 별다른 병원에서 해야만 하는 특별한 조치는 없을것 같아서 궁금합니다.
화상을 입었을 때 도수와 관계 없이 일차적으로는 무조건 15-20분 정도 흐르는 시원한 물에 환부를 식혀주어야 합니다. 이후에는 화상 연고를 발라주고 드레싱을 교체해가며 관리를 해주는 것이 공통적으로 필요합니다. 2도 표재성 화상까지는 그냥 드레싱만 하면서 경과를 지켜보다 보면 흉터는 남을 수 있지만 회복 가능성이 높습니다. 2도 심재성 화상 이상의 손상이라면 피부 이식까지 받아야 할 수도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아하 지식인에서 활동하고 있는 피부과 전문의 입니다.
크기가 작고 경미한 화상이라면 2도라도 집에서 관리가 가능합니다.
화상의 깊이와 면적에 따라 치료 방법이 달라집니다. 2도 화상은 표피와 진피의 일부가 손상된 상태로, 수포가 생기고 피부가 붉어지며 통증이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2도 화상은 표재성(얕은 2도 화상)과 심부성(깊은 2도 화상)으로 나뉘는데, 치료 방법은 화상의 심각도에 따라 다릅니다.
화상 부위는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 깨끗하게 유지되어야 합니다. 병원에서는 상처를 세척하고, 필요한 경우 괴사 조직(죽은 피부)을 제거합니다.
상처를 보호하고 감염을 예방하기 위해 적절한 드레싱을 사용합니다. 병원에서는 상처의 상태에 따라 습윤 드레싱이나 항균 드레싱을 할 수 있습니다. 습윤 환경을 유지하면 상처 치유가 촉진됩니다.
화상은 통증을 동반할 수 있어 진통제를 처방하거나, 심한 경우 신경 차단 등의 방법을 사용해 통증을 조절합니다.
감염 예방을 위해 항생제 연고를 사용할 수 있으며,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경구 항생제를 처방할 수 있습니다.
화상 부위는 꾸준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심부성 2도 화상은 치유되면서 흉터가 생길 수 있으므로, 이를 예방하기 위한 조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2도 화상이라도 심한 경우에는 흉터나 감염 등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병원에서 적절한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경미한 2도 화상이라면 집에서 항생제 연고와 드레싱을 사용하며 관리할 수 있지만, 병원을 방문해 정확한 진단과 관리 방침을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이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긍정적인 피드백을 주시면 저희가 더 나은 답변을 제공하는 데 큰 힘이 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