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훈훈한개미새17
훈훈한개미새1722.11.01

바이러스는 겨울철에 특히 창궐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코로나 2차 유행이 올수도 있다고 하는데 예측하고 있는데 겨울철이 되면 조류독감이나 코로나 등 바이러스 유행이 시작된 것 같은데 어떤 이유가 있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1.01

    바이러스가 겨울에 화발이 활동하는 이유는

    일단 바이러스는 저온건조한 환경에서 가장 활발히 움직이게 되고,

    숙주를 톻해 번식하고 살아가는 바이러스는 고온 다습한 환경에서는 공기중의 물과 결합하여 비말을 형성하게 되는데

    공기중의 수증기가 많다보니 물방울이 커서 바닥으로 떨어지게 되어 죽게되고,

    건조한 환경에서는 물방울의 크기가 작아 기류나 바람에의해 공기중을 떠다니면서

    여러 숙주에게 잡입 하게되어 바이러스의 생존율이 높아지기 때문입니다.

    또한 사람의 면역력과도 관련 있는데

    따뜻한 혈액은 백혈구를 공급하는 양이 많아 면역력이 높아지고

    혈액이 차가워 지면 백혈구를 공급하는 양이 감소하여 면역력을 약화 시켜

    면역력이 약해진 몸은 바이러스가 증식하기 좋은 환경이 되다고 합니다.

    많은 도움 되셨기를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철에 사람이 찬공기에 노출되 체온이 내려가면 면역시스템 기능이 약해지기 때문에 바이러스 감염에 취약해 질 수 있습니다. 날씨가 추워지면 사람들이 실내에 모여서 지내는 시간이 증가하기 때문에 바이러스의 전파에도 좋은 환경이 조성되는 것도 원인일 수 있습니다.

    겨울철에 주로 발생하는 바이러스는 저온에서 자기 복제를 더 잘하는 특성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이 높고, 바이러스가 외부 환경에 노출되었을 때 저온 상태에서 더 오랫동안 감염력을 지속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바이러스는 숙주가 약해진 틈을 타 활성화 되는데요

    아무래도 추운 겨울이 사람의 면역력이 약해 상대적으로 더 창궐하기 쉽습니다


  • 겨울철의 적절한 낮은 온도가 바이러스를 강하게 하기 때문입니다.

    바이러스의 외피는 온도가 낮으면 단단해집니다.

    따라서 고무와 같은 상태가 되어 바이러스가 잘 파괴되지 않는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