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고민상담

기타 고민상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외박 허락 안하는 이유가 도대체 뭘까요

대부분 부모들이 외박 허락 안하는 이유가 한번 외박하면 계속 하게되고 단 하루라지만 일단 집에 내 자식이 현재없는게 되는거기 때문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0개의 답변이 있어요!
  • 귀요미판다곰198
    귀요미판다곰198

    외박을 한번 허락하게 되면 두번 세번이 너무 쉽게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아예 외박을 허락하지 않는 경우도 많고 잠은 무조건 집에서 자야 한다는 생각이 강하기 때문 이라고 생각이 듭니다. 부모가 되어보면 자식이 남의 집에 자는 것도 걱정이 되고 집에 있는 모습을 보면 안심이 된다고 생각이 들기 때문에 외박을 허락하지 않는 이유중에 하나가 아닐까 생각이 듭니다. 부모가 되기전에는 이해 못하겠죠....

  • 외박을 허락하지 않는 이유는 다양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부모가 자녀의 안전을 걱정하거나, 자녀의 생활 습관을 개선하기 위해 외박을 제한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부모가 자녀의 성장과 발전을 위해 필요한 시간을 제공하기 위해 외박을 제한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냉정한부엉이 입니다 질문드린 답에 "답변" 드리겠습니다 세상이 위험하니 그런다고 생각을 합니다 위험한 세상이니 집에 안들어오면 불안하다고 생각 을 합니다

  • 분명 외박을하게되면 부모들의 관리를 벗어나게되므로 부모님들입장에서는 걱젛아게됩니다

    그리고 외박이라는게 성인이 된다고 좋은게 아니고 잠은 집에서

    편하게 자는게 좋다고 생각하니 그런것같아요

  • 요즘 안전사고나 흉흉한 사건사고가 많기 때문에 걱정이 되기 때문이라고 보여지세요.

    그냥 단지 걱정되기 때문에 이정도 같습니다.

  • 부모 입장이라면 누가 외박을 허락 할까요

    여성의 경우는 성인이 되었다 하더라고 부모님이 외박을 쉽게 허락하지 않습니다

    이유는 다양하지만 자녀의 보호이겠죠

  • 저는 제 자식이 외박한다고 하면 한대 쥐어박을 것 같습니다. 자식이 집에 없어서 허전해서가 아니라 그냥 걱정되어서입니다. 부모입장에서는 자녀가 성인이 되어도 아기떄의 기억이 많기 떄문에 늘 물에 내어 놓은 자식처럼 보입니다. 근데 하물며 집에 안 들어오고 외박을 하면 많이 걱정이 될 것 같습니다. 그리고 말씀하신것처럼 외박이 습관화되는게 저는 나쁘따고 생각해요. 어쩌따가 한번은 성인자녀에게 있을수도 있으나 워낙 흉흉한 세상이기도 합니다

  • 외박을 허락하면 좋은 일보다 좋지 못한 일이 더 많기 때문입니다. 또 외박은 공짜가 아닙니다. 돈이 필요합니다. 그러니 이런 돈을 줄이기 위해서 외박을 하지 않는 것이죠. 현재 질문자가 남자인지 여자인지 모르겠지만 현실적으로 외박을 하여서 좋은 일이 많을까요? 아니면 좋지 못한 일이 많을까요?

    현실적으로 좋지 못한 일이 더 많기 때문에 안전을 위해서 외박을 허락하지 않습니다. 생각보다 사람은 위험에 쉽게 빠집니다. 그러니 이에 대해서 안전을 위해서 외박을 시켜주지 않는 것이고 단 하루라는 것보다 안전이 더 크다는 것을 생각하길 바랍니다.

    부모님은 항상 자식을 걱정합니다. 이런 마음이 아주 아름다운 것이고 매우 감사한 것입니다. 내일 일어나서 부모님에게 감사하다고 마음을 전하세요.

  • 안녕하세요 박식한 오리입니다.

    미성년이라면 부모님의 통제를 받을 수 밖에없는 위치이죠

    외박을 허락하지않는 이유는 각 부모의 양육 철학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요.

    밖에서잘경우 위험할까봐,

    성적인 문제를 일으킬까봐,

    등의 여러 이유가 있습니다 즉 걱정된느거죠.

    성년이라면 부모님을 설득하고 외박학셔도 되겠지만

    미셩년이라면 부모님을 말을 들어야겠지요.

  • 외박이라는 것은 집이 아닌 곳에서 하루를 보내게 되고, 보통 밤이나 새벽은 상대적으로 치안이 좋지 않거나 위험할 수 있으니 불안이나 걱정으로 허락하지 않는 것으로 보여요. 사실 대부분 미성년자이거나 상대적으로 나이가 젊고 부모님과 같이 산다면 경제적으로 자립하지 못한 상황일 터인데, 지나칠 정도의 통제가 아닌 합리적인 통제라면 어느 정도 부모님의 요구를 반영할 필요는 있다고 생각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