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신속한갈기쥐204
신속한갈기쥐204

이문제 풀이 해주실수 있나요? 생1 방어작용 실험 부분이예요!!

자세하게 설명 해주세요ㅠㅠ ㄱㄴㄷ 전부!! 이해가 안되는 부분이 많아서 개념도 포함해서 자세하게 알려주세요ㅠㅠ 부탁드립니당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웅 전문가입니다.

    혈청은 혈장에서 섬유소 성분을 뺀 나머지를 말합니다.

    혈액을 원심분리하면 혈구와 혈장으로 나누어지지만,

    혈액을 공기중에 방치하면 혈병(혈액응고에 관여하는 섬유소와 혈구들이 뭉친 것)과 혈청으로 분리됩니다.

    A에게 X(항원)를 2회 접종>일정 시간 후(X에대한 항체가 생성될만큼의 시간) A의 혈액을 뽑아 혈청을 분리(면역혈청)

    B에게 A의 혈청 주입 (혈청에는 세포가 없음> 기억세포X)

    그래프에서 B에 X1차 주사>X에 대한 기억세포형

    X2차 주사 >항체가 1차주사때보다 많이 생성됨>기억세포에 의 2차면반응으로 볼 수 있음

    ㄱ. >그래프 제일 처음 B에 X가 주입되지 않았는데 X의 항체가 발견됨. 당시 B에 A의 혈청이 주입되었으므로, A의 혈청에는 X에 대한 항체가 들어있다고 볼 수 있음.(O)

    ㄴ. (X)

    X의 2차 주사때 항체가 더 많이 생성되었으므로 X항원은 기억세포를 만들 수 있는 항원입니다.

    X주사 후 B세포가 형질세포로 분화하여 X에대한 항체가 생성될 수 있습니다.

    X주사후 B세포가 형질세포와 기억세포의 두종류의 세포로 분화하는데 이 관점에서

    형질세포와 기억세포가 같은 시기에 생기기 시작하면 구간I에서 기억세포가 아예 없다고 보기 힘듭니다.

    그래서 I구간에는 형질세포와 기억세포가 같이 존재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ㄷ. 구간II에서는 1차주사때보다 많은 항체가 생성되었으므로 2차면역반응으로 볼 수 있음 (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