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육아

양육·훈육

유연한꾀꼬리252
유연한꾀꼬리252

아이육아에도움이되는방법좀 팁좀주세요

초1자녀입니다 학교에서 돌봄시간에 친구들과보드게임같은 놀이시간잋있는데요 집에서는 본인이항상 이길수 있게 룰도바꾸면서 부모가맞춰줬었는데 학교에서도 하던방식대로하려나봐요 교우들과규칙을 잘 지키게 하는좋은팁이있다면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이제부터라도 부모님과 가정에서 보드게임을 할 때 원래의 규칙대로 따라가도록 지도를 해주시는게 맞습니다. 아이들은 가정에서 해오던 대로 학교에서도 행동을 하려고 하는 성향이 있습니다. 이는 가정에서 명확하고 확실한 교육을 받아야하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아이들의 사회성은 부모님들로부터 적립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가정에서부터 다시 처음부터 시작한다는 생각으로 규칙은 모든 사람이 지켜야 하고 확실하게 모두가 지킬 수 있는 규칙은 불만 없이 따라가야 한다는 걸 이야기해주시면 되겠습니다.

  • 초등학교 1학년이면 학교에서 사회생활을 시작했군요. 이제라도 집에서 보드게임을 할 때 아이를 무조건 이기게 하는 방법을 바꿔야 합니다. 아이가 한번도 져 본 적 없다면 학교에서 졌을 때 아이는 어떻게 행동해야 할지 모릅니다. 졌을 때 어떻게 해야 하는지도 아이가 배워야 합니다. 집에서 게임을 제대로 하며 졌을 때도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알려주세요. 그리고 게임은 이기고 지는 것 보다 재밌기 위해 하는 것 이라는 걸 알려주세요.

  • 가정에서 함께 게임을 하셨을 때 무조건 아이를 이기게 해주는 방식으로 게임을 진행했던 것이 아이에게 독이 되었을 것입니다.

    그렇기에 가정에서 게임을 하셨을 때 무조건 아이를 이기게 해주기 보다는 아이가 게임에서 졌다면 게임의 결과에 승복하고, 이긴 사람에게 게임을 이긴 것을 축하해 라고 인사말을 전달할 수 있도록 지도를 해주셔야 합니다.

    더나아가 게임에서 이기는 것보단 게임을 하는 과정이 더 중요함을 알려주도록 하세요.

  • 보드게임을 하다보면 충분히 일어날 수 있는 부분인데요. 가정에서도 보드게임을 할 때 무조건 아이에게 맞춰주시기 보다는 규칙대로 할 수있게 해주시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게임을 하다보면 아이가 룰을 바꾸고 싶은 마음이 생길 수 있습니다. 그럼 아이가 룰을 바꾸어도 되는지 의견을 제시해볼 수는 있고요 하지만 의견이 맞지 않을 때에는 보드게임 규칙대로 해야한다는 것을 알려주신다면 아이가 친구들과도 원만하게 게임을 할 수 있을 것입니다.

  • 아이에게 마냥 다 맞춰주는 것은 좋은 방법이 아닙니다.

    아이가 사회성을 기르기 위해서는 잘못된 부분은 명확하게 알려주고 아이가 스스로 인정 할 수 있게 해 줘야 아이 역시 그러한 상황에서 대처하는 방법을 익힐 수 있습니다.

    직접 아이를 보고 말씀 드리는게 아니라 정확하게 방법을 제시하진 못하겠지만

    지금 올라온 글만 봤을 때 아이가 그 상황이 익숙하지 않다 보니 잘못된 부분을 인지하지 못하는 거 같다는 생각이 듭니다. 일딴 아이와 보드 게임을 해주실 때 시작 전에 아이와 약속을 해주세요.

    지금 부터 하는 룰은 이런 룰이라는 점을 잘 설명 해주시고, 룰을 지키지 않을 시에 약간을 패널티를 주세요.

    여기서 중요한 건 시작하기 전 아이와 룰을 정확히 설명 해야 한다는 점과 패널티를 어떤식으로 주면 좋을지 아이와 의논해서 정해야 한다는 점 입니다.

    그럼에도 아이가 만약에 고집을 피운다면, 그땐 놀이를 중단 하시고 아이에게 잘못된 부분을 알려주세요.

    훈육은 필요한 부분에서는 들어가야 합니다.

    마냥 아이에게 다 맞춰주는 건 잘못된 부분이니 칭찬과 훈육을 적절하게 활용하셔야 합니다.

  • 규칙을 지키는거에 있어서는 엄하게 하셔야 합니다.

    자칫 친구들에게 외면 당할 수 있고, 그로인해 사회성도 떨어질수 있습니다.

    집에서 부터 규칙을 철저히 지키고,

    그 규칙을 지키고/어겼을때의 상/벌도 확실히 구분해서 교육 하심이 좋습니다.

  • 우리 아이들의 경우에는 위의 상황과 같은 경우 이기는법 또는 지는법을 알야야 됩니다. 사회생활을 하면 다양한 사람과 다양한 환경에 처해질텐데 이 경우에는 우리 아이를 위해서 도와줄 수 없기 떄문입니다. 따라서 부모님과의 놀이시기에 우리 아이가 게속 이길 수 없다는것을 알고 패배를 인정하는 법을 알려주셔야되겠습니다. 이기는 법 또는 이기는 기분만 느끼게 했을 경우에는 아이가 좌절하는 횟수 또는 깊이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