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슬림의 이상향이 신라였다는 게 무슨말인가요?
무슬림들의 이상향이 우리의 신라 국가였다는 말이 있던데요. 무슬림이 어떻게 신라를 알았고, 실제 교류가 없지 않았나요? 어째서 신라를 이상향으로 생각했던 건가요?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라가 아랍 측 사료에 등장하고, 양자 간의 구체적인 교류의 흔적이 나타납니다, 아랍 사료에는 5세기에서 6세기경 중국의 선박이 페르시아 만의 시라프 항까지 이르렀음을 밝히고 있으며, 양국 간의 해상 교역은 7세기 이슬람 성립 이후 더욱 빈번해졌다는 기록이 있습니다. 신라가 당시 동아시아에서 강한 군사력과 해군력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불교의 급속한 발전에 힘입어 당대 아시아에서 중국과 더불어 가장 화려한 불교 문화를 꽃피웠기 때문에, 아랍인과 페르시아인들 사이에서 아름다운 나로 인식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세 아랍문헌에는 당시 신라 거주 아랍인들의 삶, 아랍인들이 신라에 비단, 검, 사향을 전하고, 신라에서는 향료, 유리기구 등을 교환했다는 내용이 기록되어 있으며, 신라 왕릉에 서 있는 이방인 모습의 석물에서도 이슬람 문화와의 접촉 흔적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를 근거로 신라가 이슬람 국가였다고 주장하는 것은 옳지 않으며, 당시 신라가 다양한 문화와 교류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무슬림들이 그곳에 들어가면 그곳의 훌륭함 때문에 정착하고 만다. 그 나라 다음에는 무엇이 있는지 알지 못한다는 이븐 쿠르디지바<도로와 왕국총람(864년)> 에 전해진 내용입니다. 아랍인에게 이상향으로 알려진 신라 아랍의 상인들은 비단과 검 그릇 등을 사기 위해 이상향 신라를 찾았습니다. 그리고 신라의 유물속에 새겨진 서역인의 모습들은 육로를 따라 서역길을 따라 때로는 바닷길 해상 무역로를 따라 세계와교류하며 눈부신 문화를 꽃피웠던 신라였기에 가능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