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23.06.11

임진왜란 이후에 어째서 조선은 일본과 교류한 것인가요?

임진왜란으로 인해서 조선은 굉장히 많은 피해를 입었습니다. 그래서 일본에 대한 분노가 굉장히 심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임진왜란 이후에 통신사를 보내며 교류를 한 것으로 알고 있는데 어떻게 이게 가능했던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순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李成桂)는 8세기 후반 이래 600여 년간에 걸친 일본과의 국교 단절 상태를 청산하고 무로마치 막부(室町幕府)와 통교(通交)를 재개하였다. 조선은 1401년에, 일본은 1403년에 명나라를 중심으로 하는 책봉 체제에 함께 편입하였다. 두 나라는 모두 국교 재개에 적극적이었다. 이에 1404년(태종 4) 3대 쇼군(將軍) 아시카가 요시미쓰(足利義滿)가 국서(國書)를 지참한 일본 국왕사를 조선에 파견하고, 조선 조정이 이를 접수함으로써 양국 간에 정식으로 국교가 체결되었다. 그 후 조일 양국은 서로 사절을 교환하였다. 이때 일본 막부에서 조선에 보낸 사절은 ‘일본 국왕사(日本國王使)’라고 불렀고, 조선에서 일본 막부에 보낸 사절은 ‘통신사’라고 하였다. 통신(通信)이라는 말은 ‘신의로써 통호(通好)한다’는 의미이고, 통신사는 외교 의례상 대등국 간에 파견하는 사절을 가리킨다.


    조선 전기에 일본 무로마치 막부에 파견된 사절의 명칭은 통신사 외에도 통신관(通信官), 회례사(回禮使), 회례관(回禮官), 보빙사(報聘使), 회답사(回答使) 등으로 다양하였으며, 모두 17회에 이른다. 그 가운데 통신사라는 이름으로 파견된 사절은 모두 6회였다. 그러나 교토(京都)까지 가서 사행을 완수한 것은 1429년(세종 11)의 박서생(朴瑞生) 일행, 1439년(세종 21)의 고득종(高得宗) 일행, 1443년(세종 25)의 변효문(卞孝文) 일행 등 세종대의 3회뿐이었다. 이와 같이 조선 전기의 통신사는 교류 시기도 짧았고, 사행의 형태도 일정하지 않았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영국과 프랑스가 100년 전쟁을 하고도 서로 교류를 하고 사이 좋게 지내듯이 국제 관계에서 영원한 적은 없습니다. 전쟁이 끝나고 10년이 지난 1609년 조선과 일본은 기유 약조를 맺어 단절된 교린 관계를 회복합니다. 이후 조선은 세 차례 쇄환사를 일본으로 보내 조선인 9000여명을 고국으로 데려오고 서로 교류를 시작 합니다.